earticle

논문검색

컴퓨터 게임의 공간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patiality of Computer Game

최지범

한국영상학회 CONTENTS PLUS 제10권 No.1 2012.06 pp.139-15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he meaning for computer game spatiality. Space in game is not a simple geometrical space but the continual variant that includes occurrences of events and meanings from negotiations among beings. This space can be analyzed by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into truth, goodness and beauty indicating ontological, political and aesthetical meaning. Aesthetical devices in game produce changes in both virtaul and real life style. Game space has more various interaction layers than art so it causes difference between game and art. However, that interaction as a communication device ontologically means by instrumental use of the world. Therefore, game space has political meaning because of its ruling instruments over the world. Some games strengthen ideological participation, some games lead gamers to escape from social order. This kind of game spatiality is derived from structural essence of digital media, therefore they reflect each other in interpenet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컴퓨터 게임의 공간성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게임의 공간은 단순한 기하학적 공간아 아닌 사건과 의미가 발생하고 교섭과 사귐이 일어나는 연속적 변이체로서의 공간이다. 이 공간은 진선미라는 전통적 가치 분류 방식에 따라 미학적, 존재론적, 정치적 의미의 세 층위에서 살펴볼 수 있는 데 이들은 변증법적 관계 속에서 현실 세계에 실질적인 영향을 행사한다. 게임 공간은 인터페이스를 매개 로 한 게이머와 존재자들의 상호작용의 공간이며 상호작용의 다층위적 발생 속에서 기존 예술과의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성은 단지 소통을 위한 것이 아닌 세계에 대한 도구적 지배를 위한 것 이라는 점에서 게임 공간의 존재론적 성격이 규정된다. 또한 게임공간이 현실 사회와 연결되는 방식에서 그 정치적 의미가 드러나는데 각각의 게임 구성 방식에 따라 사회 참여적이기도 하고 탈주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간성은 컴퓨터 게임을 구현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구조적 본질로서 양자는 상호침투 속에서 서로 의 모습을 반영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2. 미학적 관점
  1) 인터페이스
  2) 상호작용성
 3. 존재론적 관점
  1) 도구적 존재자를 통한 공간지배
  2) 가상과 현실의 위계
 4. 정치적 관점1
  1) 참여와 탈주
  2) 이데올로기적 도구와 그 전유
 5. 마치는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지범 Choe, Ji Bum. 작가, 게임 개발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