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롱 테이크, 영화프레임 안의 세 가지 시간 : 알폰소 쿠아론의 ‘이투마마’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Long-Take, The Three Classes’Time of an Inside Frame : Emphasizing Alfonso Cuaron’s a Production of Art ‘And Your Mother Too’.

김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inema is a time-shifted work of art. As a lot of film theorists proved it to be right, they subdivided the cinematic time. Keith Cohen theorized that he classified it into the abstract time, the psychological time and the experiential time. Ralph Stephenson and Jean R. Debrix made the establishment of a theory that they categorized it into the physical time, the dramatic time and the psychological time. This paper stipulated that it was assorted into two factor’s time which was implied by an inside frame and an outside frame as well as I have comprehended that the time expressed by an inside frame of a movie made it possible to divide the three kinds of time into the dramatic past, the dramatic present and the dramatic future when I analyzed a production, And Your Mother Too, of Alfonso Cuaron.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creative production that he made the dramatic past to be expressed in photo images utilized space, the dramatic present to be revealed in actor's movements and sounds as well as he used the dramatic future to be implicit in the voice-over skill.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he was able to incorporate the inside frame comprising the three kinds of time which was made use of an element, the long-take technique, that is essential to the screen style in a short. As he made an application of it, the long-take technicality which is one of the style’s implements is refocused by embodying a characteristic of the cinematic time, in other words, the simultaneity.

한국어

영화는 시간이동의 예술이다. 이것을 증명하듯 많은 영화 이론가들이 영화적 시간을 세분화했다. 키스 코 헨(Keith Cohen)은 추상적 시간, 심리적 시간, 체험적 시간으로, 랖프 스티븐슨과 장 R. 데브릭스는 물리적 시간, 극적 시간, 심리적 시간으로 이론화 했다. 본고는 영화적 시간을 프레임 안의 시간과 프레임 밖의 시간으로 규정하고, 알폰소 쿠아론(Alfonso Cuaron)의 이투마마(And Your Mother Too)라는 영화의 작품분석 을 통해, 영화프레임 안에서 표현되는 극적과거, 극적현재, 극적미래라는 세 가지 시간의 분류가 가능함을 알았다. 그는 극적과거를 공간을 이용한 사진이미지로, 극적현재를 배우의 움직임과 소리로, 극적미래를 보이스-오버로 나타냈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프레임 안의 세 가지 시간을 영화스타일 요소인 롱 테 이크를 이용하여 한 쇼트에 담아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롱 테이크는 시간적 특성 즉 동시성을 구현하 는 스타일도구로 재조명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들어가며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2. 존재론적 리얼리즘과 시간적 리얼리즘
  1) 앙드레 바쟁의 존재론적 리얼리즘
  2) 시간적 리얼리즘의 롱 테이크
 3. 재현된 시간과 배합된 시간
  1) 영화프레임과 재현된 시간
  2) 영화몽타주와 배합된 시간
 4. 알폰소 쿠아론의 시간영화
  1) 이투마마와 시간의 현재성
  2) 이투마마와 시간의 동시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현 Kim, Dong Hyun.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