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논문

흉부 CT촬영에서 저선량 프로토콜의 선량과 화질: 표준선량 프로토콜과 비교

원문정보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of Low-dose Protocol in Chest CT: Comparison of Standard-dose Protocol

이원정, 안봉선, 박영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between low-dose (LDP) and standard-dose protocol (SDP). LDP (120 kVp, 30 mAs, 2-mm thickness) and SDP (120 kVp, 180 mAs, 1.2-mm thickness) images obtained from 61 subjec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t level of carina bifurcation, using multi-detector CT (Brilliance 16, Philips Medical Systems). Signal-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to-noise ratio (CNR) were calculated at ascending aorta and infraspinatus muscle, from CT number and back-ground noise. Radiation dose from two protocols measured at 5-point using acrylic-phantom, and CT number and noise measured at 4-point using water-phantom. All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9.0 program. LDP images showed significantly more noise and a significantly lower SNR and CNR than did SDP images at ascending aorta and infraspinatus muscle. Noise, SNR and CN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p<0.001). Radiation dose, SNR and CNR from phantom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protocols. LD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radiation dose with a significant change in SNR and CNR compared with SDP. Therefore, exposure dose on LDP in clinical applications needs resetting highly more considering image quality.

한국어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흉부 CT촬영의 저선량 프로토콜과 표준선량 프로토콜 간의 선량과 화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흉부 저선량 프로토콜(120 kVp, 30 mAs)과 표준선량 프로토콜(120 kVp, 180 mAs)로 촬영(BrillianceTM CT 16slice, PHILIPS)한 61명의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영상에서 기관 분기부 위치의 종격동 영상을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하였다. 행대동맥과 가시아래근에서 CT number와 잡음을 측정하였고, Back-ground 잡음을 측정하여 신호대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와 대조도잡음비(contrast-to-noise ratio, CNR)를 구하였다. 두부 아크릴 팬텀을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고, 워터 팬텀으로 얻은 영상에서 CT number와 잡음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3회 실시하여 평균값 을 SPSS 프로그램(version 14.0)으로 분석하였고, 그래프는 시그마 플롯 프로그램(version10.0)을 사용하였다. 결과: 상행대동맥과 가시아래근에서 저선량 프로토콜 영상이 표준선량 프로토콜 영상 보다 유의하게 높은 잡음을 보였 고, SNR과 CNR은 유의하게 낮았다. 두 영상에서 비만지수에 대한 잡음은 양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SNR과 CNR은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팬텀 결과에서 저선량 프로토콜의 선량이 표준선량 프로토콜 보다 유의하게 낮았지만(0.35 mGy vs. 1.95 mGy, p=0.008), 잡음은 저선량 프로토콜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29). 저선량 프로토콜이 표준선량 프로토콜 보다 유의하게 낮은 선량을 보였지만, 화질 평가도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임으로서 임상에서 사용하는 저선량 프로토콜의 노출 선량은 화질을 고려하여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대상 및 방법
  2.1 영상 획득과 화질 평가
  2.2 팬텀을 이용한 선량 측정 및 화질 평가
  2.3 통계 분석
 3. 결과
  3.1 저선량 프로토콜과 표준선량 프로토콜 영상 간의화질 비교
  3.2 연구 대상자의 비만지수에 대한 잡음 및 SNR, CNR의 관련성
  3.3 팬텀을 이용한 저선량 프로토콜과 표준선량 프로토콜 간의 선량 및 화질 비교
 4.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정 Won-Jeong Lee. 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
  • 안봉선 Bong-Seon Ahn.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박영선 Young-Sun Park.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