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식음공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계획요소에 따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패밀리 레스토랑과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by the Planning Element of Brand Identity in Eating and Drinking Space - Focused on the Survey of User's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s and Brand Coffee Shops -

이재호, 정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brand identity when eating and designing space. This research used case investigation and surveys to evaluate brands and its strategies of interior designs among eating and drinking space located the main market areas in Daegu.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6 factors show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elevation design & store lo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for the type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the family restaurants had more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brand coffee shops to ‘interior color & lighting and 'space & furniture layout'. Third, the result of figuring out the improvement necessity degree after standardizing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by types, the 6 factors were arranged by 'interior color & lighting’, 'space & furniture layout', ‘location & exterior environment’, 'store size & shape', ‘interior color & lighting’, and ‘elevation design & store location’ in order.

한국어

본 논문은 외식산업의 발달로 급격한 발전과 다양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국내 프랜차이즈 식음공간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BI 제고를 위해서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늘어날 프랜차이즈 식음공간의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음공간의 BI제고를 위한 평가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0개의 항목이 F1(입면디자인과 매장위치), F2(실내컬러와 조명), F3(실내마감재와 패턴), F4(공간 레이아웃과 가구배치), F5(규모와 형태), F6(입지와 외부환경)의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 이용자들이 식음공간의 BI를 평가할 때, 6개의 요인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만족도를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6개 요인별 만족도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 만족도가 4.93으로 보통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F1(입면디자인과 매장위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F2(실내컬러와 조명), F5(규모와 형태), F4(공간 레이아웃과 가구배치), F3(실내마감재와 패턴), F6(입지와 외부환경)요인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식음공간의 계획특성에 따른 종류별 만족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F2(실내컬러와 조명), F4(공간레이아웃과 가구배치)에 대한 만족도는 패밀리 레스토랑이 높게 나타났고, F3(실내마감재와 패턴), F4(규모와 형태), F6(입지와 외부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이 높게 나타났다. 입지적 유형별로는 6요인 모두 단독건물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된 각 인자가 식음공간의 총체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영향력이 가장 큰 인자는 F1(입면디자인과 매장위치)요인으로써 전면공간의 시각적 BI요소와 이용자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식음공간의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영향력이 큰 요인은 F2(실내컬러와 조명), F4(공간 레이아웃과 가구배치), F3(실내마감재와 패턴), F5(규모와 형태) 순서로 실내환경에 대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F6(입지와 외부환경)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인자별 만족도와 중요도를 표준화하여 식음공간의 개선을 위한 6개 요인별 개선 우선순위를 정리한 결과는 F3(실내마감재와 패턴)요인이 현재 식음공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이며, 두 번째로 F4(공간 레이아웃과 가구배치)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F6(입지와 외부환경), F5(규모와 형태), F2(실내컬러와 조명), F1(입면디자인과 매장위치)요인 순서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연구범위와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식음공간의 정의와 개념
  2.2 식음공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물리적 환경
  2.3 식음공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계획요소 추출
 3. 식음공간 사례조사 및 분석기준
  3.1 식음공간 사례범위 및 개요
  3.2 식음공간 사례의 입지적 유형
  3.3 이용자 설문조사 방법과 일반적 특성
 4. 식음공간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4.1 평가요인 추출 및 분석
  4.2 평가요소별 이용자 만족도 분석과 개선방향
  4.3 식음공간의 특성별 이용자 만족도 분석과 개선방향
  4.4 인자별 중요도 분석
  4.5 개선필요도 산출 및 인자별 개선순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재호 Lee, Jae-Ho. 구미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조교수
  • 정진수 Chung, Jin-Soo. 영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