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거공간에 있어서 외부시선에 대한 시각적 프라이버시의 인식과 대응행태에 관한 연구 - 제주도 노형일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Consciousness and Behavior on the Visual Privacy from the Outside in Indoor Spaces - Focused on Nohyung Area, Jeju-Do -

변경화, 김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valuat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related to visual privacy, to ascertain factors influencing visual privacy, and to discuss behavior to deal with being seen through a living room window. For tha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residents who lived in Nohyung area, Jeju-city and 234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fully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idents interpret visual privacy as not being able to be seen, not being open to the outside, and being out of sight from others. Second, 27.4% of residents have experienced the invasion of visual privacy and 89.3% of residents answered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having their visual privacy invaded. In the case of being invaded of visual privacy, they used to act more cautiously than they remonstrated about invasion of visual privacy. The cases that intrude upon other's visual privacy are few; however, the neighborly conflict on visual privacy is possible at unexpected times because the invasion of visual privacy happens unconsciously. Third, residents have neither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nor a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The residents who experienced invasion of visual privacy and who lived in rental properties show less satisfaction and more dissatisfaction. Finally, the behavior of residents to avoid being seen from the outside shows three kinds of pattern; sensing to be watched, actively avoiding or blocking views from the outside, and being unwilling to expose their space, stuff and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주거를 하나의 공간단위로 파악하여, 외부시선에 대한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대한 평가와 거주자들이 외부시선에 대한 대응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제주시의 노형일대에 거주하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대한 의미에 대하여, “나를 볼 수 없게 하는 것”, “내가 공개되지 않는 것”, “타인의 공간을 보지 않는 것”, “나도 타인도 서로 안보이게 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둘째, 27.4%의 응답자가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한 경험이 있으며, 89.3%의 응답자가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여,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타인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침해한 경우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사례가 적지만, 그 이유에서 무의식적인 상황에서 발생하여, 이웃과의 갈등이 예고치 않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진다. 셋째, 시각적 프라이버시의 평가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않지만, 불만족하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거주자가 만족이 낮고 불만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소유의 형태에 있어서 자가주택의 거주자들이 임대주택의 거주자들보다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있어서 만족이 높고 불만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거주자들의 외부시선에 대한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대한 대응행태는 외부시선을 의식하는 정도, 외부시선을 적극적으로 회피하거나 차단하는 행위, 자신의 행동, 물건, 공간 등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의식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대상지역
  1.3 시각적 프라이버시의 평가 공간
  1.4 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2. 프라이버시에 관한 고찰
 3. 시각적 프라이버시의 인식 및 평가
  3.1 조사대상 가구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3.2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
  3.3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외부시선에 대한 대응행태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변경화 Byun, Kyeong-Hwa. 청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BK21 계약교수
  • 김태영 Kim, Tai-Young. 청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