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베를린 유태인 박물관에 나타난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응시적 욕망에 관한 연구 - 자크 라캉의 시각 예술 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aniel Libeskind's Desire of Gaze in the Jewish Museum Berlin - Concentrated on the Jacques Lacan's Theory of Visual Arts -

문정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pproximated the Lacan’s theory of visual arts to the Jewish Museum Berlin going through the architectural growth process of the Libeskind. The meaning put in the objet of the architecture is psychologically interpreted and the deconstructional character of the time and space architecture of the Ribes kind is searched for and there is this purpose. The identities of time and space being expressed in Daniel Libeskind’s architecture through Jacques Lacan’s Theory of Visual Ar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common ground on that Lacan evolved structuralism having combined language with human unconsciousness, and that Libeskind “uses the signs involved with human psychology” for accomplishing communications of architecture having combined music and painting, and constructivist graphic design. Second, the discourse regarding linear connection between “Representation Subject” and “Gaze” which are argued by Lacan, and deep empathy that obtained through observer’s gaze in Libeskind’s programmed architectural space are the works to connect sight line with gaze. Therefore, architects carry out their works for convey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cident hidden in the back side of architectural objet by gazing time and space of architecture which has been represented on the gap at the street in order to reveal latent events in the place.

한국어

본 연구는 리베스킨트의 건축적 성장 과정을 거친 베를린 유태인 박물관에 라캉의 시각예술이론을 접근시켜 건축의 오브제에 담긴 의미를 심리적으로 해석하여 리베스킨트 시․공간 건축의 해체적 성격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라캉의 시각예술이론을 통한 리베스킨트의 건축에 표현되는 시․공간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캉이 인간의 무의식에 언어를 결합하여 구조주의를 진화시켰다는 점과 리베스킨트가 음악과 회화 그리고 구성주의적 그래픽을 결합시켜 건축의 의사소통을 이루는 방법에서 ‘인간의 심리와 연관된 기호를 사용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라캉이 말하는 ‘재현 주체’와 ‘응시’의 선적 연결에 대한 담론과 리베스킨트의 프로그램화 된 건축의 공간에서 관찰자의 응시를 통해 얻어지는 진한 감정이입은 시선적인 것과 응시적인 것을 연결하는, 즉 의식과 무의식의 선을 잇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축적 구축은 표층에서 발생하는 물질적 차원의 운동적 계기와 문화적 차원의 원초적 층위를 응시하면서 발생한다. 따라서 건축가는 장소에 잠재된 사건을 드러내기 위해 가로의 틈에 구현된 건축의 시․공간을 응시함으로서 건축의 오브제 이면에 담겨진 사건의 진위를 관찰자에게 전해주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리베스킨트의 건축적 성장과 응시적 욕망
 3. 라캉의 욕망 이론과 건축
  3.1 라캉의 상징ㆍ상상ㆍ실재계
  3.2 라캉의 시각예술이론과 건축
 4.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의 시각적 응시 해석
  4.1 상징ㆍ상상ㆍ실재, 시선과 응시가 분열된 음악건축
  4.2 왜곡된 공간과 시간이 결합된 건축
  4.3 공간을 응시하는 시선으로서의 건축적 욕망
 5. 리베스킨트 건축에 나타난 응시적 욕망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정필 Moon, Jung-Pil. 동명대학교 건축학과, 전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