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산업ㆍ대중매체 분석

디지털과 신체 : 캐서린 설리번과 션 그리핀의 <치텐든스>에 나타나는 파편화된 이미지와 발작적 신체

원문정보

The Digitalized Body -Fragmented Imaging and Symbolic Spasm in Catherine Sullivan and Sean Griffin’s The Chittendens-

김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ittendens, a multi-screen digital video by internationally acclaimed Catherine Sullivan and Sean Griffin incorporates a number of creative processes. The musical structure “composed” by Griffin isolates and combines human gestures as highly formative elements. The precise and rigorous display of fragmented bodily movements turn the human bodies into cold fitful instruments. This instrumentalization of the human bodies creates a critical distance towards the performance itself, which then becomes a self-reflexive study of multiple art forms, namely music, dance, theater, and cinema. Doubly alienated from the represented personage, the performers situate themselves in evasive boundaries between fiction and reality, between surface and origin, between history and presence, which unsettle the very foundation the named art mediums. As Timothy Murray asserts, digital imaging replaces realistic representation with numeric arrangements. In this process, image is no longer a mimetic representation of reality based on optical processes but a “language.” The body in The Chittendens precisely undergoes this transformation. Constantly oscillating between these two opposing poles, the convulsive body evokes questions regarding the very societal apparatus that creates what Sullivan calls “self-possession.” A fictive sense of certainty 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immoral corporate culture, self-possession informs the logic of subjectivity in the digital era. My argument is that these multiple entries towards the reflexive contemplation on the “origins” of subjectivity, which coincide with the questions on the “origins” of each medium addressed in the working process, namely music, dance, theater, and cinema, are precisel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um.

한국어

캐서린 설리번과 션 그리핀의 멀티스크린 영상작품 <치텐든스>는 퍼포머의 신체를 음악적 구조를 위한 구성적 요소들로 기호화함으로써 연극적 재현에 대한 비평적 거리를 형성한다. 즉, 이 작품은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등의 다양한 예술 형태에 대한 자기반영적인 텍스트로 기능, 신체의 기능과 관객의 체험에 대한 비평적 사유를 촉진한다. 신체는 허구와 현실, 표면과 원형, 역사와 현재 사이의 모호한 간극에서 진동하며 예술 매체 그 자체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순환시킨다. 디지털은 더 이상 광학적인 현상에 의존하며 현실을 모사하는 것이 아니라, 티모시 머레이(Timothy Murray)의 말대로 ‘이미지’를 ‘언어’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은 현실 자체를 가변적이고 다층적인 산술적 질서로 변환하며, 이러한 변환은 신체의 존재감을 분산적인 기표들의 조합으로 대체한다. <치텐든스>에서의 신체는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의 ‘언어화’를 구현한다. 격렬하게 발작하는 듯한, 진동체로서의 신체는 결국 주체의 ‘원형’에 대한 심층적인 철학적 문제의식을 작동시키며, 이러한 문제의식은 예술 매체의 ‘원형’에 관한 질문으로 중첩된다. ‘디지털’ 영상은 궁극적으로 매체와 신체의 근원적 정체성에 대한 비평적 도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추상적 기표로서의 신체
 3. 재현을 넘어선 신체
 4. 디지털 영상 미학과 신체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희 Kim, Seong-hee. 계원디자인예술대학 아트앤플레이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