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이론ㆍ분석

영화적 서사와 이미지경제의 역사적 관계에 대하여 : 아피찻퐁의 <정오의 낯선 물체>가 제기한 질문들

원문정보

On the Historical Relation between Cinematic Narrative and Image Economy -The Questions Raised by Mysterious Objet at Noon-

안성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inematic narrative is a kind of cognition which captures circulation of technological images into chains of meaning. In terms of rearranging fragmented senses consciously, it is a modern movement. Conversely, Apichatpong Weerasethakul’s Mysterious Object at Noon transgresses that kind of movement by foregrounding the ‘mysterious objects’ which break from the classical mode of narration. This essay aims to consider the operation of cinematic narrative as the mediation between the image economy and mass cognition, following historical changes of material economy that demarcate the borderline between the modern and postmodern. Fredric Jameson suggested the cognitive mapping—rearrangements of fragmented and liquidated experience through cultural forms—as the criteria for this division. According to him, the relativism of modernism reflects a universal tendency to map modernized experiences coherently depending on semiautonomous and mutually exclusive meaning systems. Besides, it revealed, on the cultural topography, monodic subjects of modern. In this sense, the classical cinematic narration, arranging distract images through a coherent sign system, is one example of the cognitive mapping of modernism. On the other hand, Mysterious Object at Noon, containing a lot of insoluble images and polyphonic stories, provides one of the examples of postmodern cognitive mapping. For Jameson, the postmodern means the situation in which modernization of material economy excesses the limit of coherent cognition. This film’s strange objects, rupturing narrative completion and subject by its circulation, allegorize that situation of postmodern. Apichatpong’s experiment, however, simultaneously overcomes Jameson’s assessment emphasizing impossibilities of traditional narrative and subject in the postmodern, by using these distract objects as the catalyst to summon heterogeneous memories of the masses. Mysterious Object at Noon shows that those schizophrenic situations, considered as the causes of ‘deeplessness’ and ‘waning of affection’ by Jameson, could be the channel through which heterogeneities and singularities of the masses are revealed and new historical subjects express themselves. In this film, the community of singularity is emerging as the alternative agent of narrative.

한국어

영화적 서사는 기계장치가 산출한 이미지의 순환을 의미의 연쇄 속에 포획하는 인지과정이다. 이는 테크놀로지가 파편화한 감각들을 다시 의식적 지형으로 재배열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근대적 운동이다. 반면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는 영화적 서사의 고전적 양식을 끊임없이 이탈하는 ‘낯선 물체’들을 전면화 함으로 이러한 근대적 운동을 탈피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미지경제를 인지적 경험으로 매개하는 영화적 서사의 작동을, 근대와 탈근대를 가르는 물질경제의 역사적 변동 속에서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자본주의화가 야기한 파편화․유동화의 경험이, 문화적 형식을 통해 인지적으로 지도 그려지는 상이한 방식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제안했다. 그에 따르면 모더니즘의 상대주의는 이러한 근대화의 경험이 저마다의 자족적인 의미체계들을 통해 정합적으로 지도 그려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이는 근대의 단자적 주체가 문화적 지형으로 드러나는 방식이기도 했다. 정신분산적인 기술복제 이미지들을 정합적 의미연쇄로 배열한 영화의 고전적 서사는 이러한 모더니즘의 지도그리기를 반영한다. 반면 낯선 이미지들의 순환이 서사의 완결성을 해체하며, 그것들이 다양한 화자들의 정신분열적 이야기들을 촉매하고 있는 <정오의 낯선 물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지도그리기의 한 사례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에게 탈근대는, 물질경제의 근대화가 그 임계점에 이르러 더 이상 정합적인 인지 속에 포획될 수 없게 된 상황을 의미했다. 이 영화는 서사적 완결의 파열과 서사적 주체의 분열을 초래한 ‘낯선 물체’의 순환을 통해 제임슨이 제시한 탈근대적 상황을 알레고리화 한다. 하지만 아피찻퐁의 실험은,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전통적 의미의 서사와 주체가 불가능함에 역점을 두었던 제임슨의 논의를 넘어서는데, 아피찻퐁은 이 정신분산적인 물체들을 태국 대중들의 혼종적인 기억을 불러내기 위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오의 낯선 물체>는 제임슨이 ‘깊이 없음’과 ‘정동의 퇴조’로 귀결 지었던 정신분열적 상황이, 오히려 근대적 서사․주체가 억압해 왔던 ‘다중’의 혼종성과 특이성이 표현되는 조건임을 보여준다. ‘특이성의 공동체’가 대안적 서사의 생산자로 출현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이미지와 서사의 원초적 장면
 3. 영화적 서사의 근대적 욕망
 4. 포스트모던의 서사적 논리
 5. 서사라는 벡터(vector)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안성용 Ahn, Sung-yong.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