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대 먹의 특성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on Ancient Ink Stick

남태광, 신수정, 박원규, 김병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work,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finding out the methods and techniques of ancient ink stick making. Analysis the ancient ink stick on ancient documents and wooden writing as letter or painting, we concluded as followings. From the analysis of ancient wood by dendrochronology, wood was cut at 1899, which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 year of ink stick's made on writing on ancient wood. Single particle size for soot of ancient ink stick was 107 nm for ink on the roof-filling timber in Sinsunwonjeon of Changdeok Palace, compared to 38 to 86 nm on the letter on ancient 12 paper document. Aggregate particle size was 370 nm for ink on the roof-filling timber in Sinsunwonjeon of Changdeok Palace, but 206 to 318 nm for aggregate particle size on 12 paper documents. There was similar pattern between single particle size and aggregate particle size of soot, which might provide the information of raw material for ancient ink. From infra-red and Raman spectroscopic analysis of sheet of writing on paper or wood, there was severe interference from background material (paper or wood). From Raman spectroscopic analysis of ancient ink carefully separated from ancient wood, spectrum pattern was closer to ink stick made by the soot from pine burning.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고대 먹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선조들의 조묵방법 및 기술을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고목재와 고문서의 묵서부의 먹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목재(창덕궁 신선원전 적심)를 연륜연대분석한 결과 1899년에 벌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고목재에 씌어진 먹의 연대를 추정할 수가 있었다. 고대 먹 원료인 그을음의 단일입자크기는 고목재의 경우 평균 107㎚로 가장 크게 분석되었고, 12개의 고문서의 경우 38~86㎚범위를 나타냈다. 응집체입자크기 분석 결과 고목재의 경우 평균 370㎚로 단일입자크기와 같이 가장 크게 분석되었으며, 고문서의 경우 평균 206~318㎚로 분석되었고, 단일입자크기와 응집체입자크기 간에는 같은 경향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단일입자크기와 응집체입자크기로 그을음의 원료를 분석할 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목재와 고문서 묵서부분의 박편상먹의 적외선 및 라만 분광분석에서는 목재나 종이의 간섭으로 먹 입자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다. 고목재에서 분리한 분말먹의 라만 분광분석에서는 현대 송연 그을음과 유사한 라만 스펙트럼패턴을 보여, 송연먹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고목재 및 고문서 실험재료
  2.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고목재의 연륜연대분석
  3.2. 고목재와 고문서에 사용된 고대 먹의 입자 크기 분석
  3.3. 적외선 및 라만 분광에 의한 작용기 분석
 4. 결론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태광 Tae-Gwang Nam.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신수정 Soo-Jeong Shin. 충북대학교 목재ㆍ종이과학과
  • 박원규 Won-Kyu Park.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 김병로 Byung-Ro Kim. 충북대학교 목재ㆍ종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