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기관 지원사업 선정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및 적용 - 모바일 앱 서비스 지원사업 선정사례 중심

초록

한국어

공공분야 신 규 서비스 모델 의 평가는 성과가 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어려움이 크므로, 산업 육성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공지원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인 평가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사업의 선정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공공지원사업 평가체계를 제시하고, 개발된 평가체계를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모바일 앱 서비스 사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이다.
기존 관련 문헌연구와 현재 활용되고 있는 평가체계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을 발굴하고, 전문가그룹의 인터뷰와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통해 평가지표 및 가중치를 산정하여 선정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모바일 앱 서비스 지원사업에 적용할 새로운 평가체계를 위한 평가항목으로 시장지향성, 기술지향성, 서비스 개발역량, 정책지향성을 도출하였고, 각각 세부 평가지표를 발굴함으로써 평가체계를 구성하였다. 앱 개발을 통한 사업화 성과 달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의 특성상 응답자들은 평가항목 중 시장지향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평가지표 중에서는 목표시장과 고객, 수익구조와 경제성 등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기존 평가체계에 의한 앱 개발 지원사업의 재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실 제 기업의 성과 창출에 더 적합한 평가모델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체계가 실제기업의 성과와 보다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실제 공공기관 지원사업의 선정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체계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경쟁력 있는 기업의 과제를 선정함으로써 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고 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이와 유사한 지원사업 및 과제에도 적용하여 기업의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배양하고, 공공 지원사업을 통한 산업의 육성과 정책적 성 과 제고 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서론
 이론적 배경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론
  신제품 및 신서비스 개발 방법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신규 비즈니스 모델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신서비스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모바일 앱 서비스 모델 평가체계 개발
  선행연구를 통한 앱 서비스 모델 성공 모델
  전문가 조사를 통한 앱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AHP를 통한 앱 서비스 평가체계 개발
 모바일 앱 서비스 모델 평가 사례연구
  평가 개요
  앱 서비스 지원사업 재평가
  사후 추적조사 결과 및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방향
 References

저자정보

  • 배준성 연구개발특구지원본 부 전임
  • 김은희 전남대학 교 경영전문대학원 교 수
  • 고준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