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러의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미적 교육론

원문정보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Theory of Beauty and the Sublime

송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role of aesthetic on moral education by finding the relation between aesthetics and ethics based on objectivity of aesthetic focusing on Schiller’s aesthetics and aesthetic education theory. Also, it is to analyze the mechanism of aesthetic education of beauty and the sublime for realization of an ideal whole- person education, 'Bildung'. He stated that beauty and the sublime are the two essential categories in his theory, and aesthetic education shall be supplemented with sublime exper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late the sublime and aesthetic education on understanding his theory. Schiller stated that aesthetic education enables to approach the ideal whole-person education of Bildung. Aesthetic education enables a person to grow with beautiful soul that reason and emotion is harmonized. In 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Briefen, he presented an ideal aesthetic education system which Bildung aimed. Being liberated from physical force of nature, intermediate status of aesthetic freedom is the essential condition that the person can reach to intellectual insight and moral belief. However, he stat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arrive at the ideal aesthetic status completely, due to the limitations coming from the conditions of aesthetics as phenomenon and of a human being. In Über das Erhabene, he suggested that aesthetic education system with the sublime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Through sublime experience, the audience realizes the philosophy of freedom with practical reason and be trained to the agony in reality. Modernity that he captured through aesthetic, aesthetic and aesthetic education theory of beauty and the sublime will suggest solutions for the problems in fragmented society and segmented inner side of human being, and will have a great implication on modern moral education endeavoring to revive totality.

한국어

본 연구는 실러의 미학과 미적 교육론을 중심으로, 미의 객관성을 토대로 미와 도덕 간의 연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도덕교육에 있어 미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빌둥Bildung’이라는 전인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미적 교육의 체제(mechanism, 體制)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의 미학에서 아름다움과 숭고함은 핵심적인 두 범주이며, 그는 미적 교육이 숭고한 경험을 통해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숭고함과 미적 교육을 연계시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실러는 미적 교육이 빌둥의 전인교육적 이상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고 주장했다. 미적 교육은 예술가가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처럼 인간이 자신의 본성을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아름다운 영혼으로 만들어가게 한다. 그는 『미적 교육 편지』에서 빌둥을 지향하는 이상적인 미적 교육의 체제를 제시한다. 미적 자유는 인간을 자연의 물리적 힘으로부터 해방시켜 지적 통찰력과 도덕적 신념에 이를 수 있게 해주는 필수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그는 현상으로서의 미와 인간의 조건이 갖는 한계로 인해 인간이 이상적인 미적 상태에 완전히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는 『숭고론』에서 숭고함의 미적 교육의 체제를 제시한다. 숭고한 경험을 통해 관객은 그들이 가진 실천이성적 자유의 이념을 일깨우고 현실에서 만나는 고통에 대해 숙련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미학과 미적 교육론을 통해 그가 갖게 된 현대성은 파편화된 사회와 분열된 인간 내면의 문제를 해결하고 총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현대 도덕교육에도 함의하는 바가 클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아름다움과 미적 교육
 Ⅲ. 숭고함과 미적 교육
 Ⅳ. 실러의 미적 교육론의 도덕교육적 적용 방향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하영 Song, Ha-Young. 안산 중앙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