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의과학

전자의무기록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ception Attitude toward Electronic Medical Record

진혜은, 최은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ied the influence of introduc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on reception attitude,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study converted utility and serviceability from Davis TAM Model into awareness of effects in computerized database except attitude variable. The electronic survey for doctors, nurses, medical technicians of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angwon-do was performed for 4 weeks from Nov, 11th, 2009 to Dec, 2nd and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through SPSS 12.0. The factors influencing reception attitude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wareness of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of effects in computerized database, technological preparation and measured detailed specific variables. As the result of this, the factors influencing reception inten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cognizing the effectiveness caused by computer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Especially,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awareness of privacy prote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stinctions among 3 sectors; general, transactional, online information management. The significant effects were identified from information management related to business or online information management depending on experiencing security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전자의무기록 도입 시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avis TAM 모형에서 태도변수를 제외하고 유용성과 편이성을 전산화 효과인식으로 변형하였다. 강원도 소재 한 종합병원의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2009년 11월 11일부터 12월 2일 까지 4주간 자기기입식 응답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본적 특성, 정보보호행동 수준, 전산화 효과인식, 기술적 준비도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특정 변수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전자의무기록 도입시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정보전산화로 인한 효과인식에 따라 수용의도가 달라짐을 파악하였다. 특히 정보보호 행동 수준과 기본적 특성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일반적, 업무적, 온라인 정보관리 세부분 모두 직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업무관련 정보관리나 온라인 정보관리에서는 보안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변수
  2.3 자료분석
 3. 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보호행동
  3.3 기술적 준비도
  3.4 효과인식
  3.5 수용의도
 4. 고찰
 참고문헌
 5. 결론 및 제언

저자정보

  • 진혜은 Hye-Eun Jin. 강릉아산병원 의무기록실
  • 최은미 Eun-Mi Choi. 관동대학교 관광의료복지대학 의료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