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Caregivers on the Level of Practice, Knowledge, and Importance of Work under No Guardian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on paid hospital-caregivers' work performance, degree of importance of caregiving, and their knowledge as well as affecting factors on the level of practice when there is no guardia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total caregivers working at 9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December,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7.0. Results: The caregivers' level of practice showed 4.0/5.0 points, degree of importance, 4.4/5.0 points, and knowledge, 4.3/5.0 points. The level of practi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spital type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level of practice, degree of importance and knowledg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ypes of hospital attributed to 17.1% of variance in the level of practice. Conclusion: A systematic hospital caregivers' program focusing on strategy to enhance caregivers' level of practice, degree of importance and knowledge can be effective for paid hospital-caregivers when there is no guardia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실에서 근무하는 간병인의 간병업무 수행정도, 업무에 대한 중요도 및 지식정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병업무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 9개병원에 근무하는 155명의 간병인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0년 12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 보호자 없는 병실에서 근무하는 간병인의 간병업무 수행정도는 4.0점(5점 만점), 중요도는 4.4점(5점 만점), 지식정도는 4.3점(5점 만점)이었으며, 간병업무 수행정도는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병업무 수행정도, 중요도, 지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병업무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요도와 의료기관 종별로 17.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자 없는 병실에서 근무하는 간병인의 효과적인 역할정립을 위하여 간병업무 수행정도, 중요도와 지식정도를 고려한 체계적인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용어정의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적인 특성
2. 보호자 없는 병실 간병인의 간병업무 수행정도, 중요도와 지식정도
3. 보호자 없는 병실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병업무 수행정도, 중요도와 지식정도의 차이
4. 보호자 없는 병실 간병인의 간병업무 수행정도, 중요도와 지식정도의 상관관계
5. 보호자 없는 병실 간병인의 간병업무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