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지도상의 「우산도」 명칭에 관한 연구 - 「석도=독도」 규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Old Map Research About 'Usado (于山島)' Names

崔長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the research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there is Seokdo in the Chikryeong 41. This Seokdo is Dokdo. there is Ulleungdo and Usando in the old map and the document. The Usando is Dokdo in the this map. So this research is that Usando is the type of 4 kinds. First, the Usando is east, west, north and south. than Ulleungdo It is that two islands Usando and Ulleungdo exist in East Sea. Second, the Usando exists east, south and north than Ulleungdo. It is because An Yong Bok directly discovered this Dokdo. Third, the Usando exists east and south than Ulleungdo. It located the same place Dokdo of today. Fourth, the Usando marked in Chukdo(Bamboo island) of now. It is wrong. Chousen goverment emptied Ulleungdo. But managed Ulleungdo as Chousen(Korea) territories. Chousen government official went to Ulleungdo. In that time government official cannot see Dokdo from Ulleungdo. But, Ulleungdo and Usando was knowed a Chousen territory. So they marked Usando beside Ulleungdo. But the location is differentwith Dokdo of today But they clearly remenbered that the Usando is Chousen(Korea) territory. And on 1882 Korea opened up Ulleungdo. many person started to live in Ulleungdo, Ulleungdo people saw the name of Dokdo. Also Japan people secretly came and lived into Ulleungdo. The Korea government recorded Seokdo as Korean territory in the document. The name of Seokdo and Dokdo mean rock islands.

한국어

본 연구는 칙령41호의 「석도」가 오늘날 「독도」라고 하는 것을 고증하기 위해 고지도와 고문헌상에 등장하는 울릉도와 독도의 토속적인 명칭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우선 「우산도」라는 명칭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동해에 우산도와 울릉도 두 개의 섬이 존재한다는 인식아래 울릉도의 동서남북에 우산도가 표기된 것,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해서 우산도의 존재가 울릉도 동남방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명확한 것으로 인해 우산도를 울릉도 동측, 남측, 북측에 그린 것, 조선중기, 후기에 조선정부가 공도정책으로 울릉도도항을 금지한 이후 조선관리가 단기간에 울릉도에 체재하였을 때 무분별하게 지금의 「죽도」를 우산도로 잘못 표기한 것, 오늘날 독도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지만, 우산도가 지금의 「죽도」가 아니라는 명확한 인식아래 죽도의 위치를 피하여 우산도를 표기한 것 등이 있다. 다음으로는 조선조정이 울릉도개척을 본격화하였을 때 울릉도 거주민들에 의해 독도의 존재와 그 위치나 형상을 잘 알고 있었다. 고종황제가 영토관리의 차원에서 칙령을 발령하여 「돌섬」에 해당하는 관찬문서용의 한자표기로 「석도」라고 명명했던 것이다. 「독도」라는 명칭은 「돌섬」의 의미를 가진 전라도 방어에서 명명된 것이다. 당시 울릉도에는 전라도 출신들이 80%나 이주하여 살았던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우산도」명칭의 4가지 유형의 특징과 사례
 3. 울릉도와 「우산도」명칭의 생성과 변천
 4. 「석도」와 「독도」 명칭의 발생과 전개
 5. 맺으면서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崔長根 최장근. 대구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일본정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