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슈만의 리트에 나타난 장ㆍ단조 혼용 기법들과 남ㆍ여 관계 모델들

원문정보

Major-minor Composition and Male-female Combinations in the Songs of Robert Schumann

임채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chumann's originality in his much praised song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he was not primarily thinking of musical logic, but that the music should have more meaning than the words. The frequent unexpected turns can also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One of the most distinctive set of techniques in its single-and multi-part songs is the major-minor combination, the introduction of major in the minor sentences. It is often referred to the variabl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gender either directly or symbolically. The mother-son- relationship with the major vocal-melody is accompanied by a minor composition. At the bride- bridgeroom-relation major is mixed synchronically with minor (V7 9). Lovesick lovers are tied diachronically with major and minor melodies. The mother-father relationship for a sick child parallelizes major and minor third intervals of melodies. In addition, counterpoint techniques such as mirror canon, rewind, or change of tone, variation, seventh ninth, tritone and space-time-gender- symbols are used.

한국어

본고는 음악학 및 음악미학 분야에서 이른바 ‘언어와 음악의 관계’(Wort-Ton-Verhältnis)라는 개념으로 통용되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다. 고찰의 대상은 슈만의 리트들로서, 각각 두 곡씩의 솔로리트(Sololied)와 리트두엣(Liedduett)이 선정되었다. 작곡자는 이 네 곡의 리트에 공히 장ㆍ단조 혼합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방식은 서로 다르다. 슈만은 우선 장ㆍ단조성 체계가 허용하는, 또는 그 자체의 특성들 가운데 하나인 자연법칙을 이용하는데, 그것은 단조의 악곡에 장조선율이 담길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악곡의 경우, 장조 선율은 악곡의 기초가 되는 단조 화성체계에 묻혀버리기 십상이지만, 기발한 성부유도기법으로 그것을 두드러지게 할 경우, 슈만 자신의 정의에 따른 장조와 단조의 ‘행동하는 남성’ 내지 ‘허용하는 여성’의 특성이 동시에 드러나 악곡에는 일종의 상반감정병존의 상황이 연출된다. 만약 장조의 악곡에 단조를 담아야 할 경우, 슈만은 딸림7-9화음을 선택하며, 그 가운데 단편(斷片)의 형태로 도출 가능한 단조 선율들을 적절히 이용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위와 같은 슈만 자신의 장ㆍ단조 조성, 트리토누스, 그리고 사-단조 조성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각각의 리트 속에서 암시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의 짝개념 또는 남ㆍ여 관계 모델들을 도출하는 시도를 한다. 여기에는 가사, 작곡가의 생애 및 발언등에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요소들과 순수한 음악적 요소들, 곧 작곡기법들이 모두 동원된다. 아울러 이러한 악곡분석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가지 부수적 작곡기법들도 본고에서 고찰된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관점들에서 도출되는 작곡자 특유의 작곡기법들은, 궁극적으로 슈만 자신이 정의한 “음들은 보다 차원 높은 말이다”와 “음악은 시의 보다 차원 높은 잠재력이”라는 말을 증명하는 데 기여한다. 리트의 이러한 최종단계에서 가사와 작곡기법은 니체의 표현처럼 “오로지 물질적 차원에 머무는 것들로서, 모욕적인 외모”에 속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단조와 장조의 연결(Diachronisierung): 한 쌍의 연인
 Ⅲ. 단조와 장조의 병행화(Parallelisierung): 어머니와 아버지(父母)
 Ⅳ. 단조와 장조의 전위(Umkehrung)와 동반(Begleitung) : 어머니와 아들(母子)
 Ⅴ. 단조와 장조의 일치(Synchronisierung): 신부와 신랑
 Ⅵ.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채흥 Lim, Chae-Heung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