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ssues and Perspectives in Local Creative Industries -Focusing on the Cluster Model of a Local Government in Korea-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constructive policy suggestions in enhancing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of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gi-Do. The impact and importance of creative industries are rapidly growing since it has replaced the conventional industrial paradigm.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series of pertinent examples in a way to fulfill unique cultural identity, historicity and locality for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Furthermor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ongoing process and future perspective of the cluster model of creative industries development that Gyeonggi-Do is actively pursuing at the moment. I contend that a successful policy in terms of it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or creative industries is largely depending on recognizing the unique logic of cultural industry. Also it is imperative to articulate and negotiate the industrial and cultural paradigm by controlling the excessive corporate or administrative interests in order to optimize the public interes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한국어
본 논문은 오늘날 방송․영상을 포함한 문화콘텐츠산업이 뚜렷한 실체나 내실을 담보해 내기 보다는 과잉담론화하며, 각 지자체마다 경쟁적으로 가시적인 시설 확충과 인프라 구축 위주의 사업들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는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중심으로 향후 미디어․문화콘텐츠산업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유형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지자체 미디어․문화콘텐츠산업 추진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해 보다 근원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문화콘텐츠의 산업적 활성화는 물론, 지역민의 일상과 생활세계에의 착근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학문적․실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하기 위한 특화된 방안, 가령 몇 몇 실제적인 사례 분석과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한 지역의 독특한 문화정체성, 역사성과 장소성을 담지한 지역성에 부합하는 문화콘텐츠의 가능성에 대해 문학관과 공연예술 등의 구체적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기반시설이나 인프라 확충에 초점을 둔 산업적 견지에서의 클러스터 모형의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지역의 구체적 사례를 들어 이에 대한 창의적․대안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Ⅱ. 문화콘텐츠산업의 개념과 유형
1. 방송영상콘텐츠
2. 공연예술
3. 지역축제
Ⅲ. 문화콘텐츠산업의 독창성과 지역문화와의 연계성
Ⅳ. 경기도 클러스터 모형의 추진방향과 사례들
1. 클러스터 모형의 개념과 특징
2. 부천 만화애니메이션 클러스터
3. 성남 게임 클러스터
4. 고양 방송영상 클러스터
5. 지역축제 클러스터
Ⅴ. 경기도 클러스터 모형의 문제와 비판적 조망
Ⅵ.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