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교육

기능성바지의 착용이 대학생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젖산 및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Functional Pants Wearing on Aerobic and Anaerobic Motor Ability, Lactate, and Muscle Pain in College Students

고성식, 이호성, 박우영, 김기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s of functional pants wearing on aerobic and anaerobic motor ability, fatigue, and muscle pain in college student’s. [METHOD] Eight healthy college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ubjects had not been involved in a resistance-training program at least 6 months. All subjects (n=8) performed two bouts of maximum exercise load test and wingate test in wearing and non-wearing of functional pants separated by 2 and 3 weeks. [RESULT] Aerobic and anaerobic motor ability, lactate in the blood and muscle pain were taken before, immediately after, 3, and 10 minutes in each wearing and non-wearing of functional pants. Our study showed that exercise time, VO2max and reaching time to maximum power had positive effects following the wearing of functional pants compared to the non-wearing of functional pants. After aerobic exercise, muscle pain was significantly lower following the wearing of functional pants compared to the non-wearing of functional pants, and lactate recovery rate in the blood was significantly faster following the non-wearing of functional pants compared to the wearing of functional pants.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d that the wearing of functional pant improve aerobic motor ability and muscle pain.

한국어

운동학 학술지, 2012, 14(2): 85-95. 기능성바지의 착용이 대학생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젖산 및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능성바지 착용이 유․무산소 운동능력, 피로 및 근통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6개월간 이상 저항성운동을 하지 않은 건강한 남자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기능성바지 착용 및 비착용 조건에 2∼3주 간격을 두고 무작위로 유산소운동능력(최대운동부하검사) 및 무산소운동능력(윈게이트 검사)을 실시하였다. 또한 혈중젖산농도 및 근통증을 안정시, 운동종료직후, 운동 3분 후 및 10분 후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모든 측정(착용 vs. 비착용)은 동일 피험자에게 같은 시간대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1. 운동시간 및 최대산소섭취량은 기능성바지의 착용이 비착용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5). 2.. 최대파워 도달시간은 기능성바지의 착용이 비착용에 비해 유의하게 빠른 결과를 나타냈다(p<.05). 3. 유산소운동 후에 근통증은 기능성바지의 착용이 비착용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5), 젖산 회복율은 기능성바지의 비착용이 착용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결론] 이 연구에서는 기능성바지의 착용이 유산소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근통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방법
  연구대상
  실험설계
  기능성바지의 특징 및 구조
  통계처리
 결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비교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비교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성식 Ko, Sung-Sik. 한국교통대학교
  • 이호성 Lee, Ho-Seong. 단국대학교
  • 박우영 Park, Woo-Young. 단국대학교
  • 김기홍 Kim, Ki-Hong.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