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宇宙問答〉과 柳麟錫의 文明意識

원문정보

Ujumundap (宇宙問答) and Yu In Seok (柳麟錫)’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文明意識)

〈우주문답〉과 유인석의 문명의식

함영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Ujumundap』 densely containing the idea of Yu In Seok’s perpetual theory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ation, 󰡔Ujumundap󰡕 is not the meditation on ‘the existing world’ and prospect to the future but rather the deep ideal and longing for ‘the must-be-world’. 『Ujumundap』 was written in 1913 when both premodern and modern ages existed in Joseon, but it profoundly deals with Confucian Sanggojuui (尙古主義). This is the result of foundational historic consciousness held fast by Yu In Seok and prospect to the future. Virtual questions consisting of the axis of 『Ujumundap』 reflect concrete realistic consciousness. In contrast to it, the answers pursue the general ideal world. 『Ujumundap』’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could not be a future-oriented thing initiating changes based on reasonable analysis on those times’ reality but returned to the ideal of Confucian scriptures. This could not build measures in realistic aspects with Yu In Seok’s flexible responses to changes of that time, but he believed sound establishment and practice for ideology and order he thinks to be his best value is an even more valuable life of a Confucian scholar. He tried to reestablish civilization based on neutralization and practice ‘Tao (道)’, the Confucian ideal. What are noticeable in 『Ujumundap』’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include a sense of sovereignty to civi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world civilization by peaceful methods, sharp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harmful effects of capitalism transmitted by imperialism, and harmonious pursuit of Oriental and Western civilization. Yu In Seok surely wanted to learn the West’s advanced civilization actively compared with previous figures of Hwaseo School (華西學派). However, he could not escape from Bonmal theory (本末論的)’s view of civilization after all. Among them, particularly stable parts are Hwa-eui theory (華夷論) and the view of the status system, and consciousness of sexual discrimination. Could Yu In Seok’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penetrate periodic significance (時宜) rationally and realistically? Regretfully, in Yu In Seok’s mind, thorough Confucian Sanggojuui, a sense of feudal public order, and Hwa-eui theory’s world consciousness were still firmly fixed as undeniable truth.

한국어

이 글은 유인석의 만년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우주문답〉을 문명의식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결과 〈우주문답〉은 ‘있는 세계’에 대한 성찰과 미래에 대한 전망이라기보다는 ‘있어야 하는 세계’에 대한 이상과 동경이 짙게 드리워진 것으로 파악된다. 〈우주문답〉은 조선에서 전근대와 근대가 교차하는 1913년에 저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교적 상고주의가 짙게 배여있다. 이는 유인석이 견지한 기본적인 역사인식과 미래에 대한 전망의 결과이다. 〈우주문답〉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가상의 질문들은 구체적 현실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그 답변은 보편적인 이상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우주문답〉의 문명의식은 당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지향적인 것이 되지 못하고 유교 경전의 이상으로 회귀한 것이다. 이것은 유인석이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현실적인 국면에서 그 대응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자신이 최상의 가치라고 믿는 이념과 질서에 대한 온전한 구축과 실천을 더욱 가치있는 유자의 삶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중화를 중심으로 문명을 재구축하고 유교적 이상인 ‘도’를 실천하려 했다.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과 평화적인 방법에 의한 세계문명의 건설, 제국주의가 전파한 자본주의 폐해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 동서양 문명의 조화로운 추구 등은 〈우주문답〉의 문명의식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이다. 분명 유인석은 이전의 화서학파의 인물들에 비해 적극적으로 서양의 발전된 문명을 배우려고 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본말론적 문명관을 벗어나지 못했다. 화이관과 신분관, 남녀차별에 대한 의식은 그 가운데서도 특히 강고한 것이다. 유인석의 문명의식은 과연 시의(時宜)를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꿰뚫어 본 것인가? 아쉽게도 유인석의 뇌리 속에는 철저한 유교적 상고주의, 봉건적인 질서의식과 화이관적 세계인식이 여전히 부정할 수 없는 진리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었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우주문답〉의 구성과 저변
 3. 문명의식의 논리
  1) 尙古意識과 中華主義
  2) 문명의 우열과 질서
  3) 문명 조응의 논리
 4. 맺음말-남는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함영대 Ham, Young-dae.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연구원, 성균관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