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勉菴 崔益鉉의 理學的 經世觀 - 理 중심의 心論으로부터 확장된 경세관 -

원문정보

How did Neo-Confucianist cope with the chaotic state of affairs at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면암 최익현의 리학적 경세관 - 理 중심의 심론으로부터 확장된 경세관 -

김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s how neo-Confucianist coped with the chaotic state of affairs at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The neo-Confucianist focuses on Choi Ik-Hyon(崔益鉉) who was Hwa-Seo school(華西學派). The philosophical school headed by Lee Hang-No(李恒老) and talked about human mind and the it's function. They maintained that mind is the combination of nature with the intellective and perceptive faculties, especially Mind is principle. That means that their theory of Mind is the guide of independent and voluntary conduct. Choi Ik-Hyon learned their theory of Mind, and putted the theory to practical use to the chaotic Choson society. His practical usage mostly revealed on Sang-So(上疏) to the king(高宗) who was the cause of the chaotic society by him. He suggested that the cause was fundamentally on the mind of the king. According to his philosophy on mind, if the mind of the king will cultivate, his court'll govern well and stabilize the life of the people. The king cultivated has selected talented[capable] people, and they selected by their king ruled wisely, and then their people lead a life of plenty. The king and the government with the virtuous gentleman, their people will fulfill their assigned duty, although they is leaved to take its natural course, and therefore Choson must be survived as an cultural system of Sinocentrism(中華思想). His statecraft boils down to how to cultivate the mind with the illustrious virtue(明德), which is the public morality(公道) - in other words how Neo-Confucianist to cope with the chaotic state of affairs is the cultivation of mind. His thought lead up to the active and autonomous practice to Choson society.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 말기 위정척사를 표방하였던 화서학파 최익현의 경세관을 중심으로 그의 시대 인식과 그 사상적 기반을 밝혔다. 또한, 화서문인들이 이항로와 같이 벼슬을 멀리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는 점에서 최익현의 경세관은 곧 화서문인들의 경세관을 대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익현은 화서문인들 중에서도 보기 드물게 중앙관직을 거치며 정치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구현했던 인물이기 때문이다. 특히 자신의 정책적 제안을 끊임없이 상소하며 시대적 문제의식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화서문인의 경세관을 엿볼 수 있다. 최익현은 민심(民心)이 이반(離叛)되는 시폐(時弊)의 원인을 조정과 왕에게서 찾고, 그 근본적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민생이 도탄에 빠지게 되면서 각자 자신들의 본분을 이탈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바로 조정과 왕이 실정(失政)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말한다. 이에 왕에게 성리학 기반의 수양과 더불어 군자의 등용을 시급하게 요청하고 있다. 왕의 수신(修身)은 곧 올바른 인재를 등용하는 능력의 배양일 뿐만 아니라 등용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맡길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것이기도 하다. 왕의 수신을 바탕으로 전국의 인재를 등용하고, 이들에게 조정의 일들을 맡기면 자연히 민심도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왕의 마음[實心]을 통해 자연히 조정의 안정을 되찾고, 이에 조정의 올바른 정치[實政]가 베풀어짐으로써 백성들은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다[安民]는 것이다. 또한 왕과 조정, 그리고 백성들이 안정을 되찾는다는 것은 곧 그가 생각한 조선의 문화적 시스템이 온전히 작동됨으로써 시대적 난제들을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해법의 기저에는 그의 직분론적(職分論的) 명덕론(明德論)이 자리하고 있다. 왕을 비롯한 모든 백성들이 각기 자신의 직분을 깨닫고, 그에 따라 자신이 해야 할 일들을 주체적·능동적·자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명덕으로 부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실천의 주체가 심(心)이며, 이때의 심은 리(理)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직분론적 명덕론은 이항로의 ‘이리언심(以理言心)’이라는 리학적(理學的) 심론(心論)을 계승한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時弊에 대한 인식
  1) 왕과 조정의 失政
  2) 민심의 離叛
  3) 왜양일체의 亂賊
 3. 內治外禦의 경세
  1) 公法에 기반한 대외 정책
  2) 세법과 학교를 통한 安民
  3) 聖學을 통한 大本의 확립
 4. 實心·實政을 위한 수양론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근호 Kim, Goun-ho. 고려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