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화도자 표상으로서의 플로럴 패턴이 지닌 외연과 내포

원문정보

The Symbol and Formative Emblem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in Floral Pattern Blue and White porcelains

김연화, 한석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esthetic fundamental concept of aesthetic form which formative works have is to understand symbol and form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hape elements on nature and existence of objects. It can be classified into reproducing, imitating, and objective form and non-reproducing abstract form and the expression of the form has pattern, decoration, theme, and image. Since decorating beauty which floral pattern has as aesthetic form and formative elements, with the structural and aesthetic values, comes from nature and expression of objects which craft works have, the study has basic purpose to evidence expression comprising concept and nature. In Floral pattern of Korean, Chinese, Japanese, and Vietnamese ceramics having glory days in the 13th-17th, wishing messages of naturalism, Zen Buddhism, Taoism, life style and traditional folk thought were realized to appear. Therefore, pattern and decorating beauty appeared in craft works have discrimination as aesthetic value measuring instrument of pictorial component. In intention and comprehension which floral pattern of formative symbol appeared in blue and white porcelains has, content aesthetics and formal aesthetics by set condition and necessity nature set up consilience relations. It means, along with implication of ontological meaning, mutual connecting formal condition as aesthetic aspect that phenomenological structure is expressed as formative expression. The main discovery point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esthetic form of floral motive implied philosophical aesthetics and ontological state and had visual formative elements and structural value differentiated by characteristics of nation and region.

한국어

조형작품이 지닌 미적 형식의 미학적 기본 개념은 사물의 본질, 존재에 대한 형상적 요소와 조형특성으로서의 표상 또는 형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재현적, 모방적, 객관적인 형식과 비재현성의 추상적 형식으로 대별되며 그 형식의 표현들은 패턴, 장식, 주제, 이미지를 지닌다. 미적형식과 조형요소로서의 플로럴 패턴이 지닌 장식미는 구조적, 심미적 가치와 함께 도자작품이 지니는 사물의 본질성, 표현성에 기인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념과 본질을 구성하는 조형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3세기-17세기에 전성기를 이루는 한,중,일, 베트남 도자의 청화도자기장식패턴에는 자연주의와 젠(zen)부디즘, 도교(taoism), 생활양식 및 전통적인 민간사상의 기원 메시지가 구현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도자조형의 플로럴 패턴과 장식미는 회화적 구성요소로서의 미적 가치 측정 도구로서의 변별성을 지니게 된다. 청화도자에 나타난 조형표상으로서의 플로럴 패턴이 지닌 외연과 내포에는 집합조건과 필연성질에 의한 내용미학과 형식미학이 통섭적인 관계를 설정하고 있다. 이는 곧 플로럴패턴의 존재론적 의미가 함축됨과 함께 현상학적 구조가 조형표현으로 표출되는 미적양상으로서 상호 연계된 형식적인 제 조건을 의미한다. 연구의 주요 발견점은, 플로럴 모티프가 지닌 미적형식들에는 철학적 미학과 존재론적 상태가 함축되어있고, 국가적, 지역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시각적 조형요소와 구조적 조형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범위
  1-2. 연구 절차 및 방법
 2. 플로럴 패턴(Floral Pattern)의 미적형식과 조형적 특성
  2-1. 미적형식으로서의 패턴과 장식
  2-2. 모티프(motif)로서의 플라워(flower)가 지닌 상징성
 3. 국내외 청화도자에 나타나는 조형표상
  3-1. 조형표상의 개념 설정
  3-2.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비교 분석- 한국의 조형표상
  3-3. 유럽도자작품분석
  3-4. 표상으로서의 외연과 내포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화 Kim, Youn-Hwa.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 한석우 Han, Seok-Woo.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