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琴銘’의 도가미학적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esthetical Conception by Methodology of Taoism for Keum Myeong(琴銘)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금명’의 도가미학적 고찰

강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eum Myeong 琴銘 is records inscribed directly or in order to carved on a geomungo. We can search history of writers geomungo and motive for production of it by means of Keum Myeong(琴銘). Especially, we can get history of the geomungo as an instrument of writer, moreover, realization and attitude for music by a geomungo and alos ultimate goal of Keum Myeong writers. Keum Myeong writers are mostly Sun-bi or neo-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They have characteristics to pursue Soo Ki Chi In 修己治人 (correcting one's mind and then governing others) in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they constantly pursue reculsive life style and pursue such as Chen In Hap Il 天人合一 (the unite of universal principle and human being, that is,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 Chen In Mu Gan 天人無間, spiritual highest perfection in the world of spirit. Much to my regret, neo-confucian methods have a limitation in approaching to the world of origin such as Moo Ha Yoo Ji Hyang 無何有之鄕 (the natural world, in which fact and value are united as one. That is, no fallacy in human society).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from this that the Joseon Dynasty period's Keum Myeong writers used a Taoist approach towards the boundary line of Chen In Hap Il or Moo Ha Yoo Ji Hyang although they were equipped with knowledges of Confucianism. The typical way to reach boundary line above mentioned is by geomungo and Keum Myeong(琴銘) Through This Study, We can ascertain that Keum Myeong writers attempted to reach the boundary line by adopting as a methodology a Taoist boundary line in a description of the stage of Chen In Hap Il while seeking a Confucian method in a theory of thorough building-character of reality.

한국어

琴銘이란 거문고에 직접 새기거나 새기기 위해 지은 운문형식의 글로서, 그것을 통하여 기본적으로는 거문고의 내력과 제작 동기 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금명 작가의 거문고와 거문고 음악에 대한 인식과 태도 내지는 그들이 추구한 경지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조선시대 금명의 작자들은 대부분 성리학자나 선비들로서 그들은 현실에서는 修己治人이라고 하는 유학 본래의 입세지향적 특징을 띠고는 있지만, 그들의 정신적ㆍ내면적 깊은 세계의 한 편에는, 현실세계에서 초탈한 정신적 피양처를 추구하는 은자적 삶의 모습과, 자연과 동화된 삶을 통해 궁극적으로 天人合一ㆍ天人無間이라는 정신적 최고경지를 끊임없이 추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朱子의 성리학적 방법만으로는 도가적 궁극 세계인 無何有之鄕이라는 초탈한 세계를 묘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연히 도가적 경계를 통해 현실과 이상을 동시에 아우르는 미학적 최고 경계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이 거문고와 琴銘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조선시대 琴銘의 작자들이 대부분 성리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琴銘 속에 道家的 이상향의 세계와 趣味가 녹아 있었던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大音과 天籟의 境界
  1. 大音希聲의 境界
  2. 天籟之樂의 境界
 Ⅲ. 虛心境界
  1. 致虛極ㆍ守靜篤의 虛心境界
  2. 心齋ㆍ坐忘의 虛心 境界
 Ⅳ. 無爲自然의 逍遙境界
  1. 無聲無形的 音의 境界
  2. 逍遙遊的自由境界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유경 Kang, Yu-Kyun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