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もののけ姫』の葛藤構造における仏教説話の借用

원문정보

『월령공주』의 갈등구조에 있어서 불교설화의 차용

金弘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treated the borrowing of Buddhist narrative in The Princess Mononoke. Many narrative talking about a trainee monk who was cursed with vestige by the dead beared ill will, was included in the Buddhist narrative or the ghost story of Japanese. Craving birthmark into Asitaka and wriggling like snakes over the clothes by the curse of kami, is borrowing them as motif, the Buddhist narrative describing woman's grudge with snake or the ghost story describing the dead cursed with vestige. The violence in the Princess Mononoke which is posible to say it's strength, may classify into two large groups. The violence of nature is based on the anger and hatred to human who want to satisfy his desire with breaking Shishikami's forest up. On the other hand, the violence of human based on the desire to iron sand and the hatred to nature killed their fellow, shows with merciless. And the violence of bothsides can find in their ownside, so I can say that it is not a simple binary opposition. If I summarize the opposition between human nad nature in the Princess Mononoke, nature-side was described with spiritual & stylized culture like spoken language, imitation, laughing, primitive religion, civility, while human-side was described with material & spiritual civilization. Such the opposition between human's civilization nad nature's culture, we can find lot's of precedents in human History like the Indian's culture being ruined by European civilization. I think that Mr. Miyazaki try to grasp the destruction of nature for the problem of human history, through switch the relation human and nature with cross-culture embroilment.

한국어

본고는 애니메이션 『월령공주』에 있어서 불교설화의 차용을 논한 것이다. 일본의 불교설화집, 小泉八雲의 괴담, 杉浦日向子의 만화 등에는 이 세상에 한을 남긴 망자의 「흔적」을 몸에 새기게 된 사람이 수행승이 되어 여러 지방을 떠돌아다니며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는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월령공주』에 있어서 저주신의 저주가 「멍」이 되어 아시타카 몸에 새겨지고 옷에서 배어나와 꿈틀대는 「뱀」과 같은 모양으로 구현화되고 있는 것은, 「뱀」을 통해서 여인의 원한을 그린 불교설화, 망자의 「흔적」을 몸에 새기는 괴담을 모티브로서 차용하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의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폭력성은 자연과 인간의 두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자연의 폭력성은 시시가미의 숲을 파괴하여 자신들의 욕망을 채우려는 인간에 대한 분노와 증오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인간의 폭력성은 사철을 취하려는 욕망에 동료를 죽인 자연에 대한 증오가 더해져서 숲을 지키려는 동물들에게 무자비하게 표출되고 있다. 그 한편으로 양자의 폭력성은 상대편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각각 자기편에 대해서도 나타나고 있어서 단순한 이항대립의 구도라고는 할 수 없다. 『월령공주』에 그려진 인간과 자연의 대립을 총괄하자면, 인간이 물질과 정신을 중심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자연은 언어ㆍ모방ㆍ웃음ㆍ원시적 종교ㆍ예의와 같은 정신과 양식문화적 요소가 주로 그려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의 「문화」와 인간 「문명」의 대립은 인디언사회의 문화가 서양 물질문명에 의해 멸망된 것처럼 인류역사에 있어서 많이 발견되는 현상이다. 미야자키감독은 파괴하는 인간과 파괴당하는 자연의 관계를 이문화간의 갈등으로 치환해서 자연파괴를 인류역사의 보편적 문제로 파악하려 한 것이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 仏教説話における呪いの痕跡とアシタカの『痣』
 Ⅲ.『もののけ姫』における自然と人間の葛藤構造
 Ⅳ. おわりに
 【參考文獻】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金弘来 김홍래. 中央大学 BK21新人研究員、日本古典文学・日本文化専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