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景観のエクリチュール -志賀重昻『日本風景論』から-

원문정보

경관(景觀)의 수사(修辭) -시가 시게타카 (志賀重昴)의 『일본풍경론(日本風景論)』을 중심으로-

齋藤希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hesis I considered the rhetoric of landscape shown in Shiga Shigetaka’s 『Japanese Landscape』published in 1894. First in Chapter 1, I took note of the expression appearing in the head of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Landscape』and pointed out the fact that in the Meiji era the eyes which look over Japan from the outside were already internalized, and affected the rhetoric of landscape as well. In Chapter 2, I argued that Shiga Shigetaka well combined scientific expression and literary expression in expressing the principle of landscape forcusing on the historic fact that kanbun-yomikudashi(Chinese-Japanese reading style)of the Meiji era increased the vocabulary of science. In Chapter 3, I identified that Shiga Shigetaka recognized Japan as volcanic archipelago, joined diverse landscape therein, and expressed it into the sentences as he accepted physical geography(physiography). In conclusion, this argument was not to consider Shiga Shigetaka’s 『Japanese Landscape』as the creation of the landscape of a nation-state but to evaluate it as a book of the creation of modern rhetoric.

한국어

본 논문은 1894년에 출판된 시가 시게타카(志賀重昴)의 『일본풍경론』에 나타난 경관의 수사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일본풍경론』서론의 모두에 나오는 표현에 주목하여 메이지 시대에는 이미 외부로부터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이 내재화되어 그것이 경관의 수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2장에서는 메이지 시대의 한문훈독체(漢文訓読体)가 과학의 어휘를 증대시켰다는 점에 주목하여 시가 시게타카가 풍경의 원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표현과 문학적 표현을 조합시키고 있다는 것을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시가 시게타카가 지문학(地文学)을 섭취함으로서 일본을 화산열도로 인식하고 그 안의 다양한 경관을 접합시켜 문장으로 표현했다는 점을 밝혔다. 이상의 논고는 시가 시게타카의 『일본풍경론』을 국민국가의 풍경을 창출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적인 수사를 이루어낸 서적으로서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 江山洵美是吾郷の修辞
 Ⅲ. 地文学のエクリチュール
 Ⅳ. 列島のピクチャレスク
 Ⅴ. おわりに
 【參考文獻】
 <要旨>
 제목없음

저자정보

  • 齋藤希史 도쿄대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