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명대 후기 유람의 대중화와 여행정보

원문정보

Popularization of Sightseeing and Travel Information in the Later Ming Dynasty

민경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was Sadaebu(士大夫) who spread the trend of sightseeing and raised a sightseeing tour to high culture, seeing the sights and writing travel pieces in the late Ming Dynasty. By contrast, the common herd could have a chance to go sightseeing, only through making a folky religious procession in neighboring towns or a pilgrimage into the distance. The sightseeing tours of Sadaebu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m those of the people. Sightseeing needs the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places of historic interest,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tc. The travelogues written by Sadaebu was too difficult for the vulgar to read. But the rough guidebooks suited to them appeared in the latter part of the Ming Dynasty. The people in the Ming period were not illiterate. With the literacy education from childhood, they were able to read and write. And also, they could have the elementary knowledge of history, with the stories of a historical figure or event. So the remains or historical stories in the guidebooks were not strange to them. Popular culture can be made when the people initiatively produce as well as consume their own culture. The bulk publication of the guidebooks, a culture product, is symbolic proof that the common people became the subject to make and lead a culture through the channel of sightseeing.

한국어

명대 후기, 명승지를 관람하고 기행문을 남기는 등, 유람 여행의 풍조를 확산시키고 고급문화의 영역으로 까지 끌어 올린 것은 사대부였다. 그에 반해 서민 대중은 도시 근교의 토속적 신앙 행렬이나 원거리의 종교성지에 참배하면서 유람의 기회를 제공 받았다. 사대부와 유람과 서민의 그것은 달랐다. 유람에는 목적지의 경치, 고적, 길, 교통, 숙박 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 사대부들이 쓴 기행문은 서민 대중이 보기에는 너무 어려웠다. 그러나 명대 후기 서민 대중이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투박한 여행안내서가 출현하였다. 명대의 서민 대중은 문자 해독이 불가능한 사회적 부류가 아니었다. 서민들은 아동 시기의 식자 교육을 통해 문자를 읽고 쓸 수 있었다. 또한 역사 공부와 인물 이야기를 통해 초보적인 역사 지식을 가질 수 있었다. 여행안내서에 담긴 유적지나 역사 이야기는 서민 대중에게 낯선 대상이 아니었다. 서민문화는 서민이 문화의 소비는 물론 생산을 주도할 때 형성될 수 있다. 문화 상품인 여행안내서의 대량 출간은 서민 대중이 유람이라는 통로를 통해 문화를 형성하고 주도해 나가는 주체가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유람여행의 대중화
  1. 사대부의 유람여행
  2. 서민 대중의 유람여행
 Ⅲ. 『士商類要』의 유람여행 정보
  1. 유람지 정보의 중층성
  2. 유람지행 길과 교통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경준 Min, Kyong-Joon.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