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의 초등 의생활 교육 내용 분석

원문정보

Contents Analysis of Clothing & Textile Education in Vietnam, Thailand, and Malaysia

이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clothing life, analyzing textbook contents in the life in terms of country level, class level, and clothing area level in Vietnam, in Thailand and in Malaysia. Main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Vietnam dominates the other two countries in the number of pages, external system and extensive contents of textbook, in spite of little difference in their simple structure and in sequence comprising of entry, development, and summary. Second, Vietnam covers clean clothing for 1st grades, sewing practice for 4th & 5th grades, and all the area for 6th grades so as to deal with functions and uses of clothing 2nd, 3rd & 5th grades as well as caring and management of clothing, washing and ironing repeatedly through years and to teach sewing practice to th 6th grade, focusing on real practice in Thailand. On the other hand, Malaysia provides such three courses including clothing life as 'living ability' for sewing and clothing purchasing, 'common people education' for self management, decent clothing for situations and traditional clothing and cultural clothing in variety, and 'moral education' for timely and situational wearing and multicultural clothing. Third, educational specification or topic differs among countries in that how to wear is generally accepted in all the three countries but Vietnam focuses on clothing construction, Thailand on clothing management, and Malaysia on clothing culture, respectively. The above analysis shows that the three countries appear to stay behind Korea in external system and contents, especially in generating motivation and in providing a variety of education tools and evaluation method, which reveals significant room for Korea to support those countries in education sector. Korea, on the other hand, may have to learn not only clothing practical elements in clothing education such as clothing management but also the ability to put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clothing activities from them. The results may contribute a lot to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via clothing life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 cre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의생활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의 의생활 관련 교육내용을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가별, 학년별, 의생활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외적 체계에서 전체 교과서 쪽수에 따른 의생활교육내용의 비중은 베트남이 가장 높았고, 태국, 말레이시아순이다. 세부 구성 체제는 모든 국가가 도입, 전개, 정리의 체제이며, 단순한 형식이었다. 둘째, 국가별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베트남은 1학년에서는 단정한 옷차림을, 4,5학년에서는 바느질하기의 실습활동을, 6학년에서 모든 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태국은 전 학년에 걸쳐 1개의 교과에서 다양한 영역의 의생활교육이 이루지고 있었다. 2,3,5학년에서 옷의 기능과 때와 장소, 상황에 맞는 옷차림을, 2~6학년에서는 옷의 정리와 관리, 빨래하기, 다림질하기 내용이 매년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6학년에서부터 바느질하기의 실습활동이 있었다. 한편 말레이시아는 3개 교과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생활기능’에서는 바느질하기와 옷의 구매와 소비 관련 내용이, ‘공민교육’에서는 ‘자아관리‘, ’상황에 따른 옷차림‘, ’전통 의상 알기 및 여러 민족의상 알기‘교육아 이루어졌고, ’도덕교육‘에서는 ‘때와 장소에 맞게 옷 입기’와 전통의상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내용이 있다. 셋째, 의생활 영역별 분석은 ‘옷차림’영역은 3개국에서 모두 골고루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베트남에서는 ‘의복구성‘영역에, 태국에서는 ’의복관리‘영역에, 말레이시아에서는 ’의복문화‘영역에 상대적으로 비중을 많이 두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3개국 의생활 관련 교육을 볼 때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와 내용적인 면에서의 보면 우리나라보다 동기유발요소나 학습소재의 다양성, 평가방법에 있어서 단순해 보이나 3개국의 교과서에는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학습적 요소, 특히 의복관리 면에서 잘 이루지고 있는 점과 각각의 의생활활동에 의미와 목적을 부여한 점은 우리나라 의생활 교육에도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서 의생활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함에 있어 의생활교육콘텐츠 개발에 기초가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교육의 개념
  2. 다문화교육과 의생활
  3.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의 교육제도
 Ⅲ. 연구의 결과
  1. 교과서의 외적 체계 분석
  2. 국가별(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각 교과에서 의생활 교육내용
  3. 의생활영역에서의 국가 및 학년별 의생활 교육내용 분석
  4. 3개국의 의생활교육내용 분석을 통한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윤정 Lee, Yun-Jun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