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복지관의 직무순환제도 운영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Job Rotation on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Workers in Senior Welfare Centers

김경호, 강미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make a difference under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is a committed, productive, and highly motivated human resource. The success, survival and competing power of senior welfare centers depend on the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ir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job rotation system in senior welfare centers could affect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workers working for those centers. Following a previous literature review,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 total of 18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hypotheses: (1) the cycle of job rotation among social worker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2) the perception of job rotation as a way to enhance the career development path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 number of recommendations were made in relation to implementing job rotation periodically and fairly.

한국어

21세기 비즈니스 환경 아래서 조직의 성공과 생존 그리고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는 헌신적이고 생산력이 높으며 동기부여가 잘 된 인적자원이다. 노인복지관의 경우, 서비스의 직접 전달자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겨지는데,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직무순환(job rotation)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개연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순환제도가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나아가 직무순환의 도입 및 운영을 통해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전수조사를 통해 전국의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부터 수집한 275부의 설문지 가운데 직무순환제도를 명문화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가 응답한 설문지 180부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에서 시행 중인 직무순환의 주기가 길수록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더 높아진다. 둘째,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은 직무순환을 통해 자신들의 경력발달경로가 잘 고려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직무만족을 갖는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 및 가설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순환제도의 도입 및 운영과 관련된 이론적ㆍ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직무순환
  2. 직무만족
  3. 직무순환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조사대상자
  3. 측정도구
  4. 자료의 수집 및 분석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 일반 현황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 직무만족의 집단 간 차이분석
  4. 직무순환의 인식 수준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5. 직무순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1. 가설의 검증 및 논의
  2. 연구의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호 Kim, Kyung-Ho. 호남대학교
  • 강미자 Kang, Mi-Za. 호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