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전북 무주군 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elf-esteem of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Effects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round Jeonbuk Mujugun Area

김진, 전천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our society fits the multiethnic,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migration crossing the frontier including the immigrant women and immigrant worker, foreign student. That is, the increase in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de through the various routes accelerated our society the multiracial and it is faced with the difficulty various toes the thing. Which has to be integrated to the adaptation about the new society and member of the adaptation about the new family and korean society to the immigrant women which it immigrates through the marriage.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how, we looked into whether it had an effect or not. This research looked into how their self-esteem had an effect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round the immigrant women on Jeonbuk Mujugun area. First, Does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of the immigrant women reach any effect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e country of origin, educational level, and korean capability was exposed to have an effect on the dealt analyzed result to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Second, Does the self-esteem of the immigrant women reach any effect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It showed up i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in which the self-esteem is the dependent variable with the dealt research result by the variable where there is the influence but it showed up not to be meaningful statistically.

한국어

최근 우리사회는 결혼이민여성과 이주노동자, 유학생 등 국경을 넘는 인구 이동의 증가로 다민족(multiethnic), 다인종(multiracial), 다문화(multicultural) 사회를 맞고 있다. 즉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국제결혼의 증가는 우리 사회를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진행을 촉진시켰으며, 결혼을 통해 이주해 온 이주여성들에게는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적응, 새로운 가족에 대한 적응 그리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통합되어야 하는 것 등의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북 무주군지역의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그들의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력과 가족적응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첫째, 결혼이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은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분석결과로 출신국가, 학력수준, 한국어 능력이 가족적응성(지각상)과 가족응집력(지각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민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은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연구결과로 자아존중감이 종속변수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력에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선행연구
  2. 결혼이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어려움
  3.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주요변수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결혼이민여성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변수에 대한 특성
  3. 측정변수들이 가족적응성 및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 Kim, Jin. 충남대학교
  • 전천운 Chon, Chyun-Woon. 호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