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정책

지식창출형 콘텐츠 기반 창조산업 육성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Creative Industry Development Vision based on Digital Contents

노시춘, 방기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conomic crisis, efforts to overcome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development at home and abroad have been racing in the country's future lies in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Therefore,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through vision, model identification knowledge-based global digital content market-based deployment is required. For research purposes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to derive an alternative to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will lay the groundwork. The deployment order for the first digital content industry, SWOT analysis performed to derive the Korean-specific model. As a result, measures based on the advancement of digital content industry as a long-term vision and specific goals are presented as staged. The age of convergence of the u-media content markets in government, corporations, consumers, and these form the structure of a virtuous cycle distribution systems for energy by being active, synergistic effects are obtained. Above all, based on the content industry to secure internal and external growth is key. Vision of the digital content, the growth momentum of the national social development policies to be used as a role model by changing the way a series of courses is required.

한국어

경제위기를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으로 극복하려는 노력이 국내외에서 경주되고 있고 국가의 미래가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 달려있다. 우리나라는 국민 개개인 성향이 창의력에서 결코 뒤지지 않음을 우리는 많은 문화, 예술, 역사 사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같은 국민적 창의력을 디지털 콘텐츠 기반의 창조산업 육성으로 연결할 경우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소재만이 아닌 창조지식기반 경제의 핵심 플랫폼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창조산업 육성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국 창조산업 성공사례 벤치마크, 창의성을 바탕으로한 한국적 창조산업 비전 개발, 콘텐츠 정책 추진체계 리엔지니어링, 콘텐츠 클러스터 체계를 구축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융합시대의 u-미디어 콘텐츠 시장은 정부, 기업, 소비자의 선순환 구조로 형성되며 이같은 유통체계가 활성화됨으로써 활력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얻게 된다. 무엇보다 콘텐츠산업 기반의 대내외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디지털콘텐츠 비전은 디지털콘텐츠가 국가사회 발전성장의 모멘텀으로 기여될 수 있도록 정책 역할모델을 변화시켜가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2.1 창조산업 개념 정리
  2.2 창조산업, 문화산업, 디지털콘텐츠산업 관계
 3. 한국 창조산업 육성 환경 진단
  3.1 취약성과 약점 요인
  3.2 강점과 기회요인
 4. 창조산업 육성 방향
  4.1 주요국 창조산업 성공 벤치마크
  4.2 창의성 바탕의 창조산업비전 개발
  4.3 콘텐츠 정책체계 리엔지니어링
  4.4 콘텐츠 클러스터 체계 구축
  4.5 창조적 인재 개발 및 인력 양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시춘 Si-Choon Noh.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
  • 방기천 Kee-Chun Bang.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