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Formation of Contract Unionism: The Institutional Anchors of American Industrial Relations

원문정보

약적 노동조합주의의 형성: 미국 노사관계의 제도적 기초에 관한 연구

Heiwon Kw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identify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American unionism and explaining the specific historical contingency from which this particular form of unionism had originated from. Above all, American unions have been developed into “contract unionism”, one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its highly detailed formal contracts and quasi-legal structure of grievance procedure. The system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industrial relations by reducing work stoppages, and by channeling worker discontents into formal grievance procedure. This article argues that wartime labor regulation was critical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contract unionism to take deeper root in existing institutional arrays. The union-government agreement for non-stop war productivity, the convergence of the CIO leadership and the pluralists’ orientation for ‘responsible unionism’, the expansion of rule-bound arbitration system were all been the products of wartime labor relations. They served as a firm basis for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US-specific union patterns.

한국어

이 논문은 미국 노동조합의 주요 특성을 정의하고, 이와 같은 특수한 미국 노동조합주의가 유래하게 된 배경 및 역사적 상황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미국 노동조합주의는 매우 세부적인 공식적 계약 및 준(準) 법적인 구조를 갖춘 분쟁해결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체계는 종업원들의 파업을 예방 및 축소하고, 종업원들이 자신들의 불만을 공식적인 분쟁처리 절차를 통해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노사관계를 안정화하는데 기여했다. 이 논문은 전쟁 당시 미국의 노사규제 시스템이 이와 같은 계약적 노동조합주의의 제도적 기초를 형성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고 주장한다. 전쟁 시기 논스톱(non-stop) 생산성 유지를 위한 노정 협약, CIO 리더들과 다원주의자들의 ‘책임있는 노동조합(responsible unionism)’에 대한 일치된 지향성, 분쟁 처리 과정에서 구속력을 갖는 노동 중재(arbitration) 시스템의 확산 등은 모두 전쟁 시기 미국 노사관계의 산물이며, 향후 계약적 노동조합주의가 미국 특유의 노동조합주의 패턴으로서 제도화될 수 있는 초석을 확립하였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American Unionism in Comparative Perspective
 Ⅲ. Overview of United States Industrial Unionism in the 1930s: the New Deal at Work
  3.1 The New Deal Industrial Relations
  3.2 Two Contradictory Trends in the New Deal System
 Ⅳ. Wartime Labor Regulation and its Consequences
  4.1 The Characteristics of US Contract Unionism
  4.2 The Wartime Contingency and Its Impact on American Industrial Relations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Heiwon Kwon 권혜원. Full-time Lecturer, Dongduk Women's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