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On the Xunzi's Thoughts on Gentleman in the Context of His Theory of Economic Sociology: In a Search for the Model of Post-modern Executives
초록
영어
In the core of Xunzi's thoughts for achieving an integrated and harmonious society, there lie the concepts of a priori and a posteriori gentlemanship.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m in a modern point of view and to find their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deal images of post-modern executives. In chapter 2, we overview his contributions in the developments of Confucian thoughts. Following it, we analyzes the two special features of his theory of economic sociology. First, the concepts of civility(li) and justice(yi) are discussed, which are considered by him as the very basic norms for civilized societies. Second, the doctrine of natural benefits through division of labor based on li and yi are discussed. Chapter 4 deals with the concepts of a priori and a posteriori gentlemanship. For Xunzi, the gentleman is the one who can lead and develop a society, the right way(tao) is the strategy for him to achieve his goals. Of course, he should above all secure the appropriate persons with capabilities to put into practice the tao in the real world. In addition, he should recover and attain a posteriori gentlemanship which means his turning back to new principles developed by himself through exploring the old. Therefore the concepts of tao and gentlemanship are not constant and should be refined by the executives themselves as the ages go by. For this reason gentleman is also responsible for his constant learning and cultivation of himself in addition to his performances in his job. from Xunzi's gentlemanship we can find its implications for post-modern executives who are to make tough decisions under turbulent changes in managerial environments. That is to say that more efforts are needed for them to cultivate their innermost power in addition to making themselves an excellent manager.
한국어
순자 사상의 핵심은 화해사회를 달성하기 위한 도의 제시에 있으며, 그 군거화일지도의 중심에는 ‘군자’가 놓여있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순자의 군자론과 후왕론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것이 탈현대적 경영자 모델의 탐색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 순자의 유교사상의 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의하고, 제3장에서 예의론과 본리관을 분석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 군자론과 후왕론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순자에게 있어 군자란 사회존립과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다. 도란 그의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종의 전략일 뿐이다. 군자는 도를 터득한 후에도 시대상황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후왕의 도를 회복해 나가야 한다. 이것이 ‘복후왕론’이다. 때문에 군자는 업적에 대한 책임뿐만 아니라 지속적 학습과 자기계발에 대한 책임을 자임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순자의 후왕론은 지식기반사회의 기업경영에서 경영자 개인의 주관적 이론의 개발 필요성을 제기하며, 동시에 미래지향적 경영자상의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해 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내용과 구성
Ⅱ. 순자(荀子) 철학의 개관
2.1 사상적 배경
2.2 순자 사상의 기본 구도
Ⅲ. 순자의 경세사상
3.1 예의론
3.2 본리관(本利觀)
Ⅳ. 순자의 군자론과 후왕론
4.1 군자론
4.2 후왕론
4.3 탈현대적 경영자상에 대한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