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문화콘텐츠기업 글로벌전략의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Global Strategies of Korean Entertainment & Media Firms

이형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global strategies of Korean entertainment & media companies with those of global entertainment & media compani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business managers and government policy makers. From the study we find that the global strategies of Korean firms are in the stage of 'export-based strategy with decentralized marketing' or 'simple global strategy' while those of global firms are in the stage of 'high foreign investment with extensive coordination among subsidiarie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Michael Porter. We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managers of Korean entertainment & media firms. First, the Korean firms need to have a strong vision for their future global strategy, which is 'high foreign investment with extensive coordination among subsidiaries.' To move toward this vision, they need to focus more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or co-production with foreign firms. Second, the Korean firms need to utilize M&A of foreign firms when they enter foreign markets. Third, the cooperation between large firms and small & medium-size firms is strongly required particularly when they enter foreign markets. We also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policy makers of the Korean government. First, the government needs to support not only for licensing or export but also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or co-production with foreign firm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build an effective ecosystem for the entertainment & media industry where large firms and small & medium-size firms can cooperate each other even in the case of foreign market entry. Third, the government needs to set a strong vision for the future Korean entertainment & media industry which can be the hub of R&D or production activities of world entertainment & media firm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문화콘텐츠기업들과 비교하는 관점에서 한국 문화콘텐츠기업들의 글로벌전략을 분석하고, 기업 및 정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의 결과, 글로벌 문화콘텐츠기업들은 이미 고도의 글로벌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에 반해, 한국 기업들의 경우는 대기업은 수출위주의 마케팅전략 단계에 있거나, 중소/중견기업들은 수출위주의 마케팅전략에서 단순한 글로벌전략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에 대한 시사점에 관해서는 한국기업들도 향후에는 고도의 글로벌전략 단계로 이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단순한 수출이나 라이센싱이 아니라 공동제작 및 직접투자를 통하여 기업활동을 전세계적으로 분산시키고 이를 본사에서 강하게 조정하는 형태의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적극적인 인수합병을 통한 해외진출의 중요성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력을 통한 해외진출의 가능성도 언급하였다. 그리고 정부에 대한 시사점에 관해서는 정부는 기존의 수출지원 중심에서 기업들의 공동제작이나 해외직접투자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상생협력할 수 있는 생태계의 구축과 이를 통한 해외진출의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나아가 향후 한국이 문화콘텐츠 분야의 R&D 및 제작의 글로벌 허브가 되기 위한 정부의 비전 설정 및 정책개발이 매우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기존연구 및 분석툴
  2.1 기존연구
  2.2 분석개념 및 분석틀
 III. 문화콘텐츠 산업 및 기업의 글로벌화
  3.1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요성과 글로벌산업화
  3.2 한국 문화콘텐츠기업의 글로벌화 필요성
 IV. 글로벌 문화콘텐츠기업의 글로벌전략 현황과 특징
  4.1 글로벌 문화콘텐츠기업의 글로멀전략 현황
  4.2 글로벌 문화콘텐츠기업의 사례: 타임워너와 소니
  4.3 글로벌 문화콘텐츠기업의 글로멀전략 특징
 V. 한국 문화콘텐츠기업의 글로벌 전략 현황과 특징
  5.1 한국 문화콘텐츠 대기업의 글로멀전략 현황
  5.2 한국 문화콘텐츠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전략 현황
  5.3 한국 문화콘텐츠기업의 글로벌전략 특징
 VI. 비교분석 및 시사점
  6.1 글로벌기업과 한국기업의 비교분석
  6.2 시사점
 VII.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형오 Hyungoh Lee. 숙영여자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