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strategic clustering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초록
영어
This study is designed and written for the searching of successful clustering model in Korea with the cases of NJ state, USA and Daeduk, Ulsan and Hwasung city in Korea. In spite of some barriers for invitation and building the clustering theory in regional economic environments at the present, they wish to introduce the lustering program or system as much as possible to catch up the leading case of another city or foreign country. The 1st conclusion is that they(concerned parties in clustering system) should choose and build a strategic cluster together with the mind of balancing and meeting the long-term economic developing plan between regional and national government. And 2nd is owing to the potential industries, transportation & logistics and various environments, industrial cluster in Hwasung city have more potential effectiveness than any other cities in Korea.
한국어
지방자치제도의 활성화에 따라 지역내 산업 클러스터의 구축 및 육성은 산학계와 정책입안자는 물론 지역의 정책기관이나 대학 및 기업 등 이해 당사자들 사이에 중요한 전략적 현안이다. 본 논문은 산업 클러스터를 지역경제의 활성화 차원는 물론 21세기 무한 경쟁시대에서 지역의 국제 경쟁력를 제고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이라는 차원에서 산업 클러스터 구축 및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산업 클러스터의 구축 및 육성에 관련하여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였다. 나아가 미국의 뉴저지, 한국의 대덕과 울산 그리고 화성시 등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성시의 경우 농촌과 주거지역 그리고 기존의 제약단지, 자동차 전문 제조기업, 전자 및 자동차 부품단지, 물류와 유통 그리고 대학들이 자리잡고 있어 여타 도시들과는 달리 일반적인 산업클러스터에서 얻게 되는 기술혁신 등의 가능성이 높고 접근성 및 경제적 효율성 등이 타 지역보다도 유리하게 작용 또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에서는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산업 클러스터 구축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클러스터 이론의 개괄
2.1 클러스터의 개념
2.2 클러스터의 구성요소
III. 전략적 클러스터의 구축 사례
3.1 전략적 클러스터 구축의 전제조건
3.2 미국 NJ의 경우
3.3 대덕의 경우
3.4 울산의 경우
3.5 화성시의 경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