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화 단군전승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제언

원문정보

Suggestions for the Designation of Tangun Relics in Ganghwa as World Heritage Sites

김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recognition and registration of Tangun relics centered on the religious sky ceremony as World Heritage sites. It aims to suggest the combination of Tangun relics from both Chamseongdan(Chamseong Altar) and Samrangseong(Samrang Fortress) to promote their designation as being part of a common heritage. One can look at the various functions and actions carried out from era to era by the thirteenth century Goryeo royal court in the name of prayers for years of peace in the nation and see that they contain universal qualities while still retaining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t the least, the sacrificial ceremony performed at Chamseongdan(Chamseong Altar) was performed for a similar purpose as the one at Samrangseong(Samrang Fortress) until the advent of the Joseon dynasty. The high point of these rituals, it should be said, was the sacrificial ceremony of 1264 carried out in Goryeo. We must consider this point of historical character and meaning as important for the purposes of the World Heritage site designation. This is because continuing to emphasize the research concerning Chamseongdan(Chamseong Altar) and Samrangseong(Samrang Fortress) must be done properly with this character in mind in order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further work; this subsequent work is necessary in order to guarantee the proof of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earch needed for these sites to be granted designation as World Heritage. The same issue pertains to the problem of how to manage and preserve various documents concerning, among other things, literature, archeology, folk customs, and religion. Going forward, special museums dealing solely with these documents must b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managing this material. This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process of having them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relics as well as a vital element of their universality and approachability; it is a vital element of their universality. To further these objectives, we must have investigations along with formal addresses and bench markings of these relics along with international conferences centering on research scholars dealing with these relics as well as programs involving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onuments and Sites(ICOMOS). Having these sites registered requires intermediate and long-term strategies. We need to take a gradual approach toward fulfilling these goals. The restoration of the sacrificial ceremony is a particularly important step, since from its unique cultural perspective, it contains historical relevance as well as cultural, societal, and universal relevance in addition to modern elements. By not recognizing this perspective as such and putting too much focus on the more immediate problem of the World Heritage designation, we risk wasting two or three years of effort without result. If we prepare well, the worth of the Tangun relics in Ganghwa will be sufficient to have them designated with World Heritage status. Rather than their value, the current problems facing us revolve around time, strategy, raising concern of others, budgeting, and other such issues. At present, we need people concerned with actively supporting Ganghwa County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get the time needed to prepare without having to hurry. This will begin, in essence, with the torch ceremony during the 2014 Asian Games in Incheon.

한국어

이 글은 참성단과 개천대제를 중심으로 강화의 단군전승유적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제언의 목적을 갖는다. 여기서는 참성단과 삼랑성을 잇는 단군전승유적의 범위를 권역으로 세계유산에 등재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이들은 고려 조정이 국가의 태평년을 기원하기 위해 거국적으로 추진했던 여러 행사 중에 포함되어 있던 유적과 전승이었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 또 13세기 중엽 몽고와의 전쟁 중에 옮겼던 도읍인 강도(江都)에서 진행된 행사라는 점에서 특수성을 가질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적어도 참성단에서의 개천대제는 조선시대까지 같은 목적으로 설행되었다. 하지만 그 정점은 역시 1264년(원종 5) 고려 국왕 원종이 설행한 참성단 친초(親醮)에 있다. 등재를 위한 역사적 성격과 의미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다. 참성단․삼랑성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만 후속 작업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고, 그래야만 세계유산 등재로서의 보편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조사되고 발굴된 여러 문헌․고고․민속․종교 등의 자료를 어떻게 관리하고 보존할 것인지의 문제도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향후 이들 자료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박물관이 건립․운영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자, 유산의 보편성과 접근성 확대에도 필요하다. 해당 유적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학술회의 개최,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관련자들의 초청강연과 답사, 이를 위한 한국위원회와의 협조, 유사 유적에 대한 조사와 답사 등과 같은 벤치마킹도 이루어져야 한다. 참성단을 중심으로 강화의 단군전승유적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7~10년 정도의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단계를 밟아 하나하나씩 진행하고 보완해야 한다. 이 점에서 참성단 개천대제의 복원은 중요한 위치에 있다. 유적의 역사성은 물론 문화성․사회성․보편성․특수성․현재성 등을 모두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고 문제의 초점을 불쑥 세계유산으로 확장하는 것은 성급하고 무모한 시도이다. 강화의 단군전승유적은 잘 가꾸어간다면,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는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중요한 것은 학제간에 그 가치에 대한 치밀한 연구 진행과 아울러 이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의 방법, 시간, 전략, 관심, 예산 등의 문제이다. 시간을 가지고 서두르지 않고 준비할 수 있도록 강화군과 인천시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때이다. 나아가 어느 정도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가적인 관심도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 본격적인 출발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성화채화를 계기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II. 단군전승유적에 대한 연구성과와 유적의 가치 - 참성단을 중심으로 -
 III. 국내의 세계유산과 잠정목록에 선정된 유적의 등재준비 현황
 IV. 단군전승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 과제
  1. 학술 연구 및 조사
  2. 개천대제의 복원 및 관련 축제의 집약
  3. 유적의 조사 · 발굴 및 복원
  4. 홍보·교류
 V. 맺음말
 【參考文斷】
 

저자정보

  • 김성환 Kim, Sung-hwan. 실학박물관 학예 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