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2000s influx of North Korean Refugee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continued to grow in the future are estimated. In this regard, the study of korea literature occasional discussions about literature dealing with North Korean Refugee used to be done, but North Korea Refugee shaped by korean writers due to perspective of the other has biases.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is paper first overall status of works written by North Korean Refugee is presented. And Novel written by North Korean Refugee that is commonly found in characteristic and cause of such a characteristic as to appear Deleuze, Guattari and their meaning ‘minority literature’ through the notion were investigated. The Novel written by North Korean Refugee has ‘Autobiographical novel’ and ‘Literature of testimony’ personality. Autobiographical novel personality was revealed through chronological narrative structure and first-person point of view ‘Literature of testimony’ personality can be seen through criticism about DPRK' system and society that appears in work These ‘Autobiographical novel’ personality and ‘Literature of testimony’ Deleuze, Guattari, the characteristic of the ‘minority literature’ through the concept of meaning can be analyzed. Deleuze & Guattari, the ‘minority literature’ as an attribute of ‘deterritorialized language’, the work culminated in the ‘politics’, ‘collective personality’ is holding. ‘Deterritorialized language’ of the creative work of defectors in the works of styl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through the internal tension became the basis of their creative activity to determine guilt, and ‘politics’ case with them work with the political way of thinking, along with South Korea,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North Korea can be found at: If you are exposed to the work of the collective nature of the regime for the critical nature of defectors rather than individual artists with a collective consciousness that the two can be identified with. Thus defectors creative work outside of the work have been characterized as a minority group, and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with the nature of these works, explain the meaning is an element.
한국어
2000년대 들어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유입은 해마다 증가되어 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 로 증가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작가들의 북한이탈주민 소재 소설에 관 해 간간히 논의가 이뤄지곤 있으나, 한국작가들에 의한 북한이탈주민 형상화는 타자적 시선으 로 인해 편향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본고에서는 먼저 북한이탈주민 창작 활 동 전반적 현황을 제시하고 북한이탈주민 창작 소설들을 대상으로하여 이들 소설에서 공통적 으로 발견되는 성격과 그러한 성격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그 의미를 들뢰즈․가타리의 ‘소수 집단 문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창작 소설에서는 ‘자전소설적’ 성격과 ‘증언문학적’ 성격이 발견된다. 자전소 설적 성격은 연대기적 서사구조와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서술방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증언문학적 특성은 작품 내에서 북한 체제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태도가 두드러진다 는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자전소설적’ 성격과 ‘증언문학적’ 성격은 들뢰즈․가타리의 ‘소수집단 문학’ 개념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할 수 있다. 들뢰즈․가타리는 ‘소수집단 문학’의 특성으로 ‘탈영토화된 언어’, 작품이 띄고 있는 ‘정치성’, ‘집단적 성격’을 들고 있다. ‘탈영토화 된 언어’는 북한이탈주민 창작 작품의 문체적 특성과 더불어 작품에 나타난 언어가 지닌 내적 긴장 상태를 통해 그들의 창작활동의 근간이 된 죄의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치성’의 경우 는 그들이 지닌 정치적 사고방식과 더불어 작품이 지닌 남한사회와 북한사회에서의 정치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집단적 성격의 경우는 작품에 드러나는 북한 체제에 대한 비판적 성 격이 작가 개인이 아닌 북한이탈주민이 지닌 집단적 의식이라는 점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렇듯 북한이탈주민 창작 작품은 작품내외적으로 소수집단문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특성들은 이들 작품의 성격이 지닌 의미를 설명해주는 요소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북한이탈주민 창작 작품의 현황과 성격
3. ‘소수집단의 문학’의 개념
4. 북한이탈주민 소설의 특성과 의미
1) 탈영토화된 언어
2) 정치성의 내재
3) 집단적 성격
5. 나오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