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기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의 위장과 전유 -잡지 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amouflage and Metonymy of Femininity in Jang Deok-jo’s works of the post-Liberation era -Based on her novels published in the magazines-

차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ing consumed by the public, novels of the post-Liberation era in Korea have functioned as a public place for debate and discussion, combined with their platform – the magazines – which have took a role as a conduit for the public’s communication. Magazines, especially, have played a role as a major driving force to engender social changes, along with their key role to reflect and spread the era’s thoughts and ideas. This paper will put focus on understanding and verifying feminini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reality displayed in the four novels of Jang Deok-jo’s ― Chan-gong 蒼空, Ham-seong 喊聲, Jeo-dol 猪突, and Sam-sip-nyun 三十年 published in the magazines. The research has led me to a realization that femininity in the post-Liberation era was expressed or preached under the camouflage of a dominant discourse of the age. The two magazines ― Sam-sip-nyun 三十年 and Ham-seong 喊聲 ― have implemented the meaning of femininity by way of maternity value, stressing the need for national unity, whereas the other two ― Jeo-dol 猪突 and Chan-gong 蒼空 have had the discourse of maternity to be mobilized to solve a pile of problems after the Liberation, summoning up tha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whole picture paints an expansive reproduction of maternity value which has been defin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femininity value to address pending issues of the age, as the Japanese Empire had mobilized it during the colonial rule.

한국어

해방기 소설은 대중에 의해 소비되면서 공동체의 소통 역할을 하는 잡지의 매 체의 특성과 합쳐지면서 공론의 장(場)으로서 역할 했다. 특히 잡지 등의 매체는 한 시대의 사상과 이념을 반영하고 전파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사회 변화의 주요한 동인이 되어왔다. 본고는 장덕조의 잡지 게재 소설 <蒼空>, <喊聲>, <猪突>, <三十年> 네 편을 대상으로 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성을 사회 현실과의 관계망 속에서 이해하 고 그 의미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해방기의 여성성이 지배 담 론에 의해 위장된 형식으로 설파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三十年>, <喊聲>은 민족 결속의 필요를 강조하는 데에서 모성을 통한 여성성의 의미를 구현 하고 있으며 <猪突>과 <蒼空>은 일제강점기 모성담론을 다시 호명하면서 해 방현실의 산적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쓰임 받도록 하고 있었다. 이는 일제가 여 성성을 동원했던 것처럼 해방기에도 주어진 현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제 강점기 여성성과 등가적 의미로 규정한 모성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해방과 여성성(여성적인 것)의 경험
 3. 여성의 동원과 은폐된 내셔널리즘
  1) 모성의 추동, 허구의 주체
  2) 전략적, 반복적으로 규제되는 여성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차희정 Cha, Hee-Jeong. 상지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