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국어 종결어미의 통시적 변화와 쟁점

원문정보

A General Survey of Diachronic Change of Korea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장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achronic formal and functional changes of Korea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fter Middle Korean, mostly have occurred in declarative endings, interrogative endings, and imperative endings. One of the distinctive changes of Korea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is the appearance of ending ‘-o/so’ in 18C. This ending having expressed considerable honorific meaning to the hearer has been used to end the declarative sentence and interrogative sentence until the present day. It formed another ending ‘-ʌpsio’ which expressed honorific meaning to the hearer in 19C.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19C; interrogative ending ‘-na’, imperative ending ‘-ke’(both of these endings express a little honorific meaning to the hearer.), ending ‘-ji’(it expresses no honorific meaning to the hearer.), and the most honorific ending ‘-ʌpsio’(its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imperative are in same form.). The system of sentence-terminating ending in 19C has succeeded to the present days after it has gone through the adjusting process for systematic stability.

한국어

중세국어 이후 국어의 종결어미의 형태나 기능의 변화는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에서 주로 나타난다. 특징적인 국어 종결어미의 변화 중 하나는 18세 기의 종결어미 ‘-오/소’의 출현이다. 이 어미에 의한 평서형과 의문형은 꽤 높임의 상대 높임 등급을 표시하는 종결형으로 현대국어까지 이어졌으며 이 어미로 인하여 19세기에 아주 높임의 명령어미 ‘-시오’가 형성되었다. 또한 19세기에는 약간 높임의 의문어미 ‘-나’, 명령어미 ‘-게’, 반말 어미 ‘-지’가 새 로 나타나며, 아주 높임을 표시하는 평서, 의문, 명령의 어미 ‘-시오’도 형 성되었다. 19세기의 종결어미 체계는 20세기 초에 체계적 안정성을 확보하 기 위한 조정 과정을 거쳐 현대국어의 종결어미 체계로 이어졌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종결어미 변화의 개관
 3. 종결어미의 형성
 4. 종결어미의 형태 및 기능의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윤희 Jang, Yoon-hee. 인하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