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 과정

원문정보

The Shift Proces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of Declarative

이유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shift proces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of declarative based on the morphemic structures. Since some final elements in sentences have been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I have proposed the elements should be called the term of ‘sentence final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the sentence final elements, I have set up four categories in the sentence final elements of declarative which are the sentence final endings, the endings of hearer-honorific, the sentence final particles, and the sentence final elements of nominal sentences. Through the four categories, I have investigat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of declarative. First, I have focused on the elements ‘-ta/ra, -ko, -oma, -omsɛ’’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I have claimed that the element ‘-ko’ is the sentence final ending of exclamative, ‘-oma, -omsɛ’ are the elements of the declarative sentences which includes appointment meaning. Although the final element of ‘-omsɛ’ is ‘-ɨi’ of hearer-honorific, it has been combined with the element ‘-oma’ as same category. Second, there are the elements ‘-ə/a, -tsi, -ɨi, -so/o’ which include the hearer-honorific markers and endings of declarative and the sentence final particle, ‘jə’ or ‘jo.’ In this article, the ‘jə’ that is the constituent of ‘-ɨntjə, -ɨls'ə’ or ‘-it'ʌnjə’ was treated. Third, it is surveyed that the sentence final elements of nominal sentences are ‘-ɨni’ and ‘-ɨri’ with the nominal sentences’ trace. The method of the analysis of morpheme which has researched in this article is the ultimate analysis that is a loose affiliation of the syntagmatic relation and the constrains of paradigmatic synchronic. Though it is an inadequate method on the view of the structural linguistic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homogeneity of the smallest constructive elements briefly.

한국어

이 글에서는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상을 주로 형태 구조의 측면에서 개 관하였다. 문장을 종결하는 요소는 몇 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이들을 ‘문장 종결소’ 라는 용어로써 포괄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네 부류의 서술문 종결소, 즉 서술문 고유의 종결 어미, 대우법 어미, 종결 보조사, 명사문 종결소를 설 정한 다음, 이를 토대로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서술문 고유의 종결어미 중에서는 ‘-다/라, -고, -오마, -옴새’에 대하여 살 펴보았다. ‘-고’는 이른바 감탄문을 구성하였던 어미이고, ‘-오마, -옴새’는 약 속의 서술문에 쓰였던 종결어미이다. ‘-옴새’의 마지막 요소는 청자 높임의 ‘- 으이’이지만, 여기서는 ‘-오마’와 함께 묶었다. 대우법 표지이면서 서술문을요’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은뎌, -을쎠, -이녀’ 등의 구성 요소인 ‘여’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명사문 종결소는 명사문의 흔적을 유지하고 있는 종 결어미 ‘-으니, -으리’이다. 이 글에서 취한 형태소 분석의 태도는 공시적 통합관계와 계열관계의 제 약에 구애되지 않는 최대 분석의 방법이었다. 이 방법은 구조주의적 관점에 서는 부적절할 수 있지만, 최소 구성 요소의 동질성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위 해서는 필요한 방법이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서술문 종결소와 서술문 종결형식
  2.1. 서술문 종결어미와 종결형식
  2.2. 대우법 종결어미와 종결형식
  2.3. 종결보조사와 종결형식
  2.4. 명사문 종결소와 종결형식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유기 Lee, Yu-ki. 동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