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안성 칠장사 法浻 作 <오불회괘불>의 재검토

원문정보

An Reexamination of Beobhyung(法浻)’s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五佛會掛佛) in ChilJang-Temple, Anseong City

안성 칠장사 법형작 <오불회괘불>의 재검토

박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lJang-Temple at Chilhyeon mountain in Anseong has been formal temple as a little-scale buddhist temple since Hyeso national preceptor Junghyeon(慧 炤國師 鼎賢, 972~1054) from the Dharmalaksana Sect(法相宗)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an abbot. There are two pieces of Gwabul paintings as monumental and typical Buddhist holy relics in ChilJang-Temple. One of them is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The No.296 National Treasure) painted by Beobhyeong(法浻) in 1628. This painting colored on the sink consisted of 656cm long and 407cm wide, and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orm above. In the first section as the top of the painting, ‘Shakyamuni-Vairochana- Sambhogakaya’ and in the second section, ‘Amitabha-Bhaisajyaraja’ such as the Dharma realm composed of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are arranged. In the Third section as the bottom of the painting, Mt. Sumeru(須彌山), Avalokiteshvara, and Ksitigarbha are arranged. The under three motifs, moreover, twenty-four people as the Six ways-Sattva(六道衆生) looking up at them with pressing one's palms together or hoding up offering thing. The arrangement of this painting such as these is not one-dimensional placement based on order of rank in Buddhism than a vision of the universe in Buddhism is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For this reason,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 is very interesting. There is one opinion on ChilJang-Temple Gwabul Painting that main monk painter Beobkyung(法冏) who painted Maitreya Gwabul Painting in Moorang- Temple, Buyeo in 1627 and another painter Beobhyung(法浻) painted ChilJang-Temple Gwabul in 1628 are same person. However, the power of a brush stroke and brush technique of the monk painter who participateed Moorang-Temple and ChilJang-Temple Gwabul painting are totally different through comparison with Buddha’s face and head part as well as appearance of small nirmāna-buddha. Moreover, there are other differences that Seolchae skill(設彩法), drawing, cloud expression, and so forth.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same person painted two Gwabul paintings directly. By circumstance of ChilJang-Temple under the patronage of Inmok queen (仁穆大妃), there are existing two possibilities of making this Gwabul painting supported by slaves of Inmok queen or her indirectly. However, until now, there are no evidences for that opinion. According to analysis data of this painting record, donors and monks for this painting are reexamined. It is hard to say that the donors: renegade in army, Eunjong(銀從) who is a wife of Chungbo executed after Enthronement of Injo king(仁祖反正), and so forth are slaves of Inmok queen. However, in the case of a gold donor, Deokchun(德春), there is a report that Injo king awarded government officers of his mother’s soul hall(魂宮) in 1628, and the prize was the military service and forced labor exemption for the officers: Soobok(守僕) Deokchun(德春), Gakseakjang(各色掌) dukge(得介), and so forth. It means that some persons as Deokchun could exchange with a low-ranking officer, Gakseakjang of Jabjik(雜職) in Saongwon(司饔院) and then they would contact national painters whose position is one of Jabjik. The aforementioned evidences suggest the circumstance that this painting has style of Buddhist painting from royal family. Moreover, this painting is the third earliest in Gwabul paintings, and it is not hard to accept the style in 16th century because the time gap was not wide.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 accepted a traditional style of painting in 16th century and built bridges of Gwabul painting in 17~18th century. In a painting, composition is vertical climb from bottom to top : the Sattva realm->the Bodhisattva realm->the Dharma realm. The image such as this composition of the painting means that the all people who will be glad in Yonghwa-meeting(龍華會) coming in a short time will attain Buddhahood. Especially, In this painting, the mysterious spatial structure : the Ground, the Heavenly realm, the Dharma realm, and so forth with Mt. Sumeru as its center based on a vision of the universe in Buddhism of Avatamsaka Sutra is arranged with icons stably and harmoniously on large size painting paper. Moreover,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 has very expository and excellent aesthetic value put a view of the Buddhist world. the monk painter Beobhyeong(法浻) who has best technique and capability at that time and Jungmyeong(證明) Younggwan(靈寛) constituted a team and painted the Gwabul Painting in ChilJang-Temple.

한국어

안성 칠현산 七長寺는 고려초 법상종 출신의 혜소국사 정현(972~1054)이 주석 한 이래 규모있는 가람으로서의 격을 갖춘 사찰이다. 이같은 七長寺의 홍제관에 는 칠장사의 대표적 성보라 할 수 있는 기념비적인 괘불 2점이 있다. 그 중 1점은 1628년에 법형(法浻)이 제작한 <오불회괘불>(국보 제296호)이다. 이 <오불회괘 불>은 총 길이 656cm, 너비 407cm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을 베푼 것으로, 화면 은 위쪽에서 부터 아래쪽으로 3구역으로 나누어 배치하였다. 화면 상단은 ‘석가-비로자나-노사나’ 하단에 ‘아미타-약사’로 배치되어 삼신불과 삼세불로 구성된 법계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 아래쪽에는 수미산과 관음과 지장 보살, 그 아래쪽에는 육도중생에 해당하는 총 24명의 군상들이 합장, 혹은 공양물 을 받들고 위를 향해 우르러보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같은 배열은 불교도상의 위 계에 따라 단순히 아래에서 위로 배치된 1차원적인 배열보다는 불교의 우주관을 입체적으로 이미지화 한 매우 흥미로운 불화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칠장사 괘불에 대해 기존에 1627년에 부여 무량사 <미륵괘불>을 제작 한 수화승 법경(法冏)과 1628년에 제작한 칠장사 괘불의 수화승 법형(法浻)을 동 일인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본존의 얼굴과 두부 및 광배에 그려진 소형 화불의 상호 등을 비교를 통해 무량사와 칠장사 제작에 임한 화승의 필력과 붓놀림은 전 혀 다른 자의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이같은 차이는 이외 설채법 및 선묘처리, 구 름 표현 등에서도 동일 현상을 거듭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인물이 두 작품 에 직접 작화활동을 하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인목대비의 후원하에 있었던 칠장사의 주변정황을 고려해 이 괘불도 기존에 인목대비의 친속 노비들이 관여하거나 불화 조성에 인목대비가 간접적으 로 후원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인목대비가 직접적으로 이 괘불에 관여하 였는지, 그녀의 친속 노비들이 개입하였는지 단정지을 근거는 찾기 어렵다. 화기분석을 통해 화면을 맺은 시주자와 승려들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 졌다. 시주자들 중 군대 이탈자나, 인조반정 직후 처형된 충보의 아내 銀從 같은 사람들 이 인목대비의 친속 노비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러나 황금시주자인 德春의 경우는 인 조 6년(1628)에 어머니 혼궁의 관원들을 시상하는 기사에 守僕 德春, 各 色掌 得介 등에게 일생동안 면역케한 내용으로 보아, 德春같은 인물 등이 사옹원 의 잡직인 하급임원 各色掌 등과 교류가 가능하였으며, 이를 통해 잡직 화원들과 도 연결고리를 맺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는 본 괘불이 왕실발원 불화의 화풍을 이어받을 수 있었던 정황을 시사하기도 한다. 또한 본 괘불은 현재 남아 있는 괘 불 가운데 3번째로 빠른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16세기 왕실화풍을 수용하기에 시간의 간극이지 넓지않아 가능하였을 것이다. <오불회괘불>은 16세기 왕실발원 불화의 전통화법을 수용하면서, 17~18세기 괘불의 견인 역할을 하였으며, 화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중생계→보살계→법 계’ 로 진입 가능한 수직 상승 구도를 나타내고 있어, 마치 ‘다가올 용화회에 더불 어 함께 기뻐하는 자들은 모두 성불할 것이다’라는 발원문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화엄의 불교우주관에 걸맞게 수미세계의 수미산을 중심으로 지상과 천 계, 법계 등의 불가사의한 공간적 구조를 대형 화폭에 도상군을 안정감있고 조화 롭게 배치하여 불교세계관을 고스란히 담아낸 매우 설명적이면서도 탁월한 조형 감을 일군 불화라 할 수 있다. 당대 최고의 기량과 역량을 가진 화승 法浻과 증명 靈寛이 팀을 이뤄 탄생시킨 괘불이라 아니할 수 없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수직상승 구도 -地上과 天界, 그리고 法界
  1. 도상구성 및 배치
  2. 수직상승 구도와 불교 세계관의 상징적 이미지
 Ⅲ. <오불회괘불>의 조형성과 法浻의 화풍
  1. 도상표현과 설채법
  2. 法浻의 화풍과 그의 痕迹들
 Ⅳ. 畵記分析을 통해 본 시주층
  1. 발원내용 및 시주품목
  2. 시주자의 이름과 실체
  3. 畵緣을 맺은 승려들
 Ⅴ. 맺음말 - 法浻 作 괘불의 조성 의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은경 Park Eunkyung. 동아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