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高麗末~朝鮮前期 球形浮屠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herical-shaped Stupa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고려말~조선전기 구형부도 연구

전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pa refers to a stone structure built to hold the remains sarira(or bones) of a prominent Buddhist priest. In Korea, since the late United Shilla era when Zen Buddhism was popular, the stupa with an eight-sided pedestal was continuously built, becoming the most dominant style of the time. However,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era the spherical-shaped stupa, a new style, enjoyed great popularity. The spherical-shaped stupa was characterized by the round body and narrow roof-stone. Prime examples include Samdaehwasang stupas of Hoeamsa(Jigong-Naong-Muhak), Sujongsa stupa and stupas at Bokcheonam of Beopjusa. In addition to these examples, lots of spherical-shaped stupas have been found, proving the spherical-shaped stupa once was a very popular style. The period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era when sphericalshaped stupas were dominantly built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style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The first period was the late Goryeo era when the spherical-shaped stupa newly appeared. During this period, though the Goryeo Kingdom was unstable and exposed lots of problems, Buddhist believers were bound together by the religion behind Naong and his disciples. The representative stupas of this period include stupa for Priest Jigong and stupa for Priest Naong at Hoeamsa and stupa for Priest Wonjeung at Taegosa. This period is reflection of the impact of India stupa. The second period refers to the years in which the first four kings of Joseon, including King Taejo and Sejong, ruled the nation. Stupas in this period were mostly constructed for Buddhist priests who had worked for the establishment or prosperity of Joseon Kingdom. Prime examples include stupa for Priest Bogak at Cheongryongsa, stupa for Priest Muhak at Hoeamsa, stupa for Priest Gihwa at Hyeondeungsa and stupa for Princess Jeongui at Sujongsa. This period is partial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pa with eight-sided pedestal, the Joseon Kingdom in the splendid decorative patterns were added to the relevant. The third period refers to the years after King Sejo. During this period, stupas were built in and around the site where Bokcheonam of Beopjusa was located. They were bigger but simpler with no striking ornaments. The popularity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from the late Goryeo and to the early Joseon era can be explained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shape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retained the original shape of the Indian stupa. Indian stupas and sarira reliquaries basically had an upside-down round bowl-shaped body. Although their body shapes was like an upside-down bowl, their parts above the bodies were wide at bottom and gradually got narrower towards their tops, showing lots of similarities with the sphericalshaped stupa of Korea. Chinese stupas that have some similarities with Korean spherical-shaped stupas have been found in Buddhist temples of the Song and Yuan eras in the region of Shandong and Zhejiang Province. Stupas which have been found near Hangzhou City, Zhejiang Province -a stupa at Cheondongsa, a stupa at Sangbanggwangsa and a stupa at Manyeonsa in the Mt. Cheontae- are similar to Korean spherical-shaped stupa in terms of expressions on the body and the part above the body of the stupa. The Buddhist temples in which the Chinese stupas above have been found follow Imje Zen Buddhism which exerted lots of impact on Buddhist priests Naong and others in the late Goryeo era. Furthermore, Lama tower-style sarira reliquary which enjoyed popularity in the Goryeo and early Joseon era is compared with the spherical-shaped stupa. They are similar in that they both had a round body, but show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the platform and body, whether or not they had a roof-stone and the shape of the part above the body. When it comes to Buddhist backgrounds behind the popularity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it is thought that the stupa was closely related to the Buddhist beliefs of Jigong, the Indian Buddhist priest who had come to Goryeo, and Naong, the Buddhist priest who had studied in China during the Yuan era, learned Buddhist doctrine from Jigong and followed Imje Zen Buddhism. Jigong was not a lama but a Zen priest. He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disciples Naong and Muhak, who contributed a lot to the emergence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pherical-shaped stupa was influence by Indian Buddhism. The round body, an important feature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is thought of as a form reflecting Indian Buddhism culture, not the influence of Lama Buddhism arts. Moreover, the beliefs in Sejonsarira popular in the late Goryeo era and people's great respect towards Buddhist priests Jigong and Naong at the time also appear to have contributed a lot to the popularity of the spherical-shaped stupa.

한국어

부도는 고승의 열반 이후 사리나 유골을 봉안하기 위해 세운 건축물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선종이 유행했던 통일신라 하대 이후 팔각원당형부도가 주류를 이루 며 지속적으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고려말기부터 조선전기에는 구형의 탑신을 갖 춘 새로운 형태의 부도가 유행을 하였다. 구형부도는 탑신이 구형이면서 폭이 좁 은 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회암사의 삼대화상(지공-나옹-무학) 부도, 수종사 부도, 법주사 복천암 부도 등이 있고 그 외에도 다수의 예가 전하고 있어서 당시 유행했던 양식임을 알 수 있다. 고려말기에서 조선전기에 유행한 구형부도의 예를 살펴보면 양식에 따라 3기 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Ⅰ기는 구형부도가 새롭게 등장하는 고려말이다. 이 시기는 고려왕조 말의 혼란기였지만 불교는 나옹과 그의 제자를 중심으로 결속하 였다. 대표적인 부도의 예는 회암사지에 남아 있는 지공선사부도, 나옹선사부도, 태고사 원증국사부도가 이 시기에 해당하고 이들 부도는 인도 탑의 영향을 반영 하고 있다. Ⅱ기는 조선 태조~세종대까지로 이 시기의 부도는 조선 건국과 더불 어 왕실과 연관이 있었던 승려들의 부도이다. 그 예는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 탑, 회암사 무학대사홍융탑, 현등사 함허당득통탑, 수종사 정의옹주부도가 있다. 이 시기의 부도는 부분적으로 팔각원당형부도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으며 조선 왕 조와의 관련 속에서 부도의 표면에 화려한 장식문양이 추가되었다. Ⅲ기는 세조 이후 법주사 복천암을 중심으로 조성된 부도들로 화려한 장식은 없지만 규모가 크고 형태가 단정하다. 고려말~조선전기에 구형부도가 유행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형태상으로는 인도 스투파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인도의 스투 파나 사리기들은 둥근 복발형 탑신을 기본으로 한다. 탑신은 복발형이지만 상륜 부는 아래가 넓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데 상륜부의 모습은 마치 우리나라 구형 부도의 옥개석을 보는 듯하다. 중국의 부도탑 중에서 우리나라의 구형부도와 비교되는 예는 주로 절강성이나 산동성 일대의 宋, 元代 사찰에서 볼 수 있다. 절강성 항주시 근처의 天童寺 七塔, 上方廣寺 七塔, 天台山 萬年寺塔의 경우 탑신이나 상륜부의 표현 등이 구형부도와 유사하 다. 이들 사찰은 고려말의 나옹과 같은 승려가 많은 영향을 받았던 임제 종 계통의 사찰이다. 또한 여말선초에 유행한 라마탑형 사리장엄구가 구형부도와 비교되는데, 탑신이 둥글다는 점 이외에 기단이나 탑신의 형태, 그리고 옥개석의 유무, 상륜부의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편 세존사리탑은 스님의 부도인 구 형부도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구형부도는 고려말기부터 유행한 새로운 석가모니 사리신앙과 세존사리탑유행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구형부도유행의 불교사적 배경은 당시 인도에서 고려에 왔던 승려 지공, 원으로 유학하여 지공으로부터 불법을 전수받고 임제선을 접하였던 나옹의 불교신앙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도에서 태어나 고려에 왔 던 지공은 라마승이 아닌 선승이었고, 지공의 제자였던 나옹이나 무학은 그의 영 향을 깊이 받았는데 이러한 인도불교적 배경 속에서 구형부도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구형부도의 중요한 특징인 탑신이 둥근 모습을 강조한 형태는 라마불교미술의 영향이라기보다 인도불교문화로의 회귀를 보여주는 한 형태로 생각된다. 또한 구 형부도 유행의 보다 근원적인 배경에는 고려말에 유행한 세존사리에 대한 신앙이 있고, 지공 및 나옹을 마치 석가모니처럼 존숭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말~조선전기 구형부도의 양식 특징
  1. Ⅰ期 : 고려말
  2. Ⅱ期 : 조선 태조~세종
  3. Ⅲ期 : 조선 세조 이후
 Ⅲ. 고려말~조선전기 구형부도 유행의 조형적 배경
  1. 인도 및 중국의 영향 가능성
  2. 여말선초 라마탑형 사리기와의 관계
  3. 세존사리탑의 영향
  4. 고려말~조선전기 석조물 장식문양과 비교
 Ⅳ. 고려말~조선전기 구형부도 유행의 불교사적 배경과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전미숙 Jeon Misuk. 충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