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ocial service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policy alternative for new social risk in Korean society. The concept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service should be discussed for better social service policy. This paper tries to construct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Concept of social service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r broad, narrower, and narrowest. Social service has characteristics of quasi-public goods which has partially rivalry and partially exclus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social service paradigm. I hope that this paper become a clue for activating discussions on social service.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서비스 개념의 정의 방식
1. 개념의 기능과 정의 방식
2. 사회서비스 개념 정의 방식의 검토
Ⅲ. 사회서비스 개념의 유형화
1. 개념 유형화의 목적
2. 사회서비스 개념의 유형화
3. 사회서비스 개념의 속성
4. 우리나라의 사회서비스 개념
Ⅳ. 사회서비스의 공공재적 특성
1. 공공재의 특성
2. 사회서비스의 공공재적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