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valuative the key features of Lee Myung Park Government’s curriculum policy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policy.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treat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the research paradigms in curriculum, and the types of curriculum policy.
On the base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developer’s self-reflective perspectiv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key features of National Common Curriculum:grades cluster, subjects cluster, and intensive course-tak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improve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11 revised curriculum for subject matter education. As regards the way to improve the curriculum, first in importance is a change of the paradigms in curriculum, that is change from a positive paradigm to a hermeneutical one. Second, policies regarding curriculum changes should be based on the realities of schools and the requests from teachers and secure teachers’ understandings and cooperations. Third, for new policies such as grades cluster, subjects cluster, and intensive course-taking to succeed, some further measures should be taken. Fourth, there is a need of curriculum approach based upon core competence. It is important for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form that included the inclusion of competence as a core constituent of curriculum structure, innovations of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s, and the emphasi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of learning outcomes.
한국어
이 연구는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정책의 주요 특징을 평가하고 이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우선 이론적 배경측면에서 교육과정과 교육정책, 교육과정정책의 관계, 교육과정 연구의 패러다임, 교육과정정책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이 연구는 ‘미래형 교육과정’ 또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함께 2011 교과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연구 및 개발의 참여자 입장에서 반성적으로 분석․평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여기에는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인 학년군제, 집중이수제, 교과군제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분석․평가를 토대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1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무엇보다 주요한 것은 패러다임의 전환, 즉 실증주의 패러다임으로부터 해석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임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변화와 관련된 정책은 학교현실과 교사들의 요구에 중요시해야 하며, 교사의 이해와 협조에 이바지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년군제, 집중이수제, 과목군제 등의 새로운 정책들이 교육현실의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넷째,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정책의이론적배경
1.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정책
2. 교육과정 이론의 패러다임
3. 교육과정 정책의 과정과 유형
Ⅲ. 이명박정부의교육과정정책의특징
Ⅳ. 이명박정부교육과정정책의평가및발전방향
1. 교육과정 정책의 문제점 분석
2. 교육과정 정책의 발전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