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타액 코티졸(Salivary Cortisol) 농도 변화를 통해 살펴본 임상미술치료의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Change Into Concentration of Salivary Cortisol

구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salivary cortisol and confirm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stressed employees while they are being treated. Methods:Total 42 males and females from age 20 to 46 who reside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nd work for the company in Seoul were selected. Paired T-test was used to check the concentration change of salivary cortisol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by individual.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of KHTP test (House-Tree-Human)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mid-term works in the process of clinical art therapy were selected to analyze individual characteristic. Results: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employees who have stress showed slight difference by the time zone, but it is observed that the cortisol concentration can be decreased by the clinical art therapy.
Conclusion:By reviewing the result through the concentration change of salivary cortisol, it is found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give positive effect on the stress relief. As shown on the detailed pre and post-analysis on the test tool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is prove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is study will be actively used and verified in the clinical service as the basis of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Art Therapy 2010;5(1):26-32)

한국어

목 적:본 연구는 스트레스를 가진 직장인들에게 다양한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타액 코티졸 농도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임상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며 서울 소재에 직장을 다니고 있는 20세에서 46세까지의 남·여 42명을 선정하였다. 임상미술치료 전·후 타액 코티솔 농도의 변화, 개인별 임상미술치료 전·후 타액 코티솔 농도의 변화는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였으며 임상미술치료 사전·사후 동적 집-나무-사람(KHTP)검사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임상미술치료과정에서 중기 작품들을 선별하여 개별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스트레스를 가진 직장인들에게 미술치료의 효과가 시간대 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임상미술치료를 통해 코티솔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결 론:타액 코티졸(salivary cortisol) 농도 변화를 통해 결과를 검토해 볼 때 임상미술치료의 효과는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연구 결과에서 검사도구의 사전·사후 구체적인 분석 결과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어 그 효과를 입증해 준다. 이에 임상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근거의 마련으로 임상실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검증되어질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0;5(1):26-32)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구진경 Jin Gyeong Gu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