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투자환경 변화와 수출기업의 대중국 진출전략

원문정보

The Change of Investment Environment in China and Entry-Strategy of Korean Export Enterprises into China

최창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implement of the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in 1978, China has become a country which supply low salary, cheap raw material and abundant workforce. Moreover, China carried out varies preferential policies to foreign companies, so the foreign capital began to flow to China. At that time, Korea corporation could just invest in China by Hongkong and expatriates, because Korea didn't have diplomatic deals with China. After two countries began to have foreign affairs in 1992. The Agreement on Trading, The Agreement on Investing Guarantee, The Agreement on Preventing Two-ford Taxes and several kinds of agreements were signed and the measures about getting rid of the risks of the small-scale investment were carried out, Then the investment in China which comes from the middle and small enterprises of Korea became more and more vigorous. China entered the WTO in 2001. With the expansion of the need of nationwide market, the investment of Korea enterprised in China will increase dramatically. We should relocate our factories from the coastal city with costly workforce to inland due to the increasing of the costs of workforce and the decreasing of the favorable taxation. In order to balance the development of the area advance the development of th inland, China provide some favorable policies, Moreover, the costs of the workforce in coastal city are lower than inland, because the development of inland is less than coastal city.

한국어

중국의 출구전략과 위안화 절상은 세계 경제의 핵심적 내용이다. 중 국에 의한 “중국효과 (China Effect)”가 크기 때문에 중국의 경제정책 변화는 각국의 경제 를 움직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출구전략과 위안화 절상이라는 두 가지 요인을 중국 투자환경 변화의 장기적 요인이라고 판단하고 이러한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국내 수 출기업의 전략은 무엇인지 도출 하고자 한다. 중국진출을 위한 우리기업의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경 쟁기반 구축을 위해서는 몇 가지 조치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R&D 기업 설립과 기술 혁신을 통해 제품의 다양화를 이루는 동시에 자기 브랜드 가치를 증가시켜야 한다. 둘째, 내수시장 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한다. 셋째, 대기업들이 서비스산업과 에너지, 친환경산업의 투자를 통해 중국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 해야 한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협업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넷째,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고, 세제혜택이 낮은 연해지역보다는 내륙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중국경제의 현황
 III. 중국의 투자환경 변화
  1. 선제적 출구전략
  2. 위안화 절상
  3. 노동계약법 시행과 인건비 상승
  4. 환경 규제 및 가공무역 금지품목 확대
  5. 반독점 규제
 IV. 대중국 수출기업의 대응방안
  1. 출구전략에 영향
  2. 위안화 절상
  3. 대중국 수출기업의 발전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창열 Chang-Yeoul CHOI.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