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지표로 본 체제전환기 몽골 관광사업의 발전
초록
한국어
이 논문은 몽골 경제가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관광산업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련지표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세계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란 상이한 경제체제를 유지하며 약 70년을 지냈다.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하면서 경제체제가 인간의 경제활동을 중시하는 시장경제로 전환 하게 되었다. 1990년대 중앙 및 서유럽 (Central and Eastern Europe), 중앙아시아(Central Asia)의 3억이 넘는 인구와 약 30개 국가들이 경제체제의 전환을 체험하면서 경제, 사회관계에서 상당한 변화와 개혁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이것을 전환기 경제라고 정의한다. 전환의 주체, 경제와 정치의 개혁범위는 각 나라마다 기간과 대상은 다르게 진행되었다. 몽골의 관광산업 발전과정에서도 사회체제, 산업, 경제적 사고, 문화, 풍습, 생활 방식 등이 영향을 미쳤다. 몽골관광은 역사적 8 단계를 거쳐서 발전해 왔다. 그중 제 4-6 단계를 사회주의기라하고, 제 7-8 단계를 전환기라고 볼 수 있다. 체제전환기의 경제, 사회부문에 새로운 질서, 영향과 관계가 생기면서 제도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당시 경제위기, 실업문제, 예산부족, 외화부족 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국제 관광사업 있었기 때문에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관광산업이 경제발전에 어떤 효과를 주고 있는지를 정의하고, 확실한 통계와 경제지표, 데이터와 정보가 앞으로 관광산업의 정책, 계획, 발전 과 전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전환기의 관광 통계와 경제정보, 지표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의의를 갖는다. 전환기 초기에는 몽골의 관광산업의 발전을 몽골에 방문한 관광객의 숫자와 지표를 이
용하여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편협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심도 있는 정책수립에는 한계를 보이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몽골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전환기 단계에 관광분야의 경제효과를 다음과 같은 거시지수와 지표로 설명하였다. 이들 거시지표는 소득, GDP, 수출, 투자 규모 및 관광수지다. 최근에 관광산업은‘종전에는 양을 중시하였으나 이제는 질을 중시하고’, ‘독자적활동에서 지역적, 제도적, 국민과 사회 기타관계의 협력 상황으로,’’경쟁보다 협동방식으로‘, ’무감독과 무질서 상황 아니고 지속적인 발전으로‘ 이행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 대문에 관광산업 정책도 치밀한 경제적 지표분석과 통계적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 관광산업의 정책수립과 영향의 분석을 위해 이러한 연구는 이어질 것이다. 관광분야의 경제효과와 의의를 GDP비중, 고용창출, 관광수지, 투자규모, 정부지출 등 거시지표의 분석이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목차
I. Introduction
II. Historical review of tourism development
III. Tourism indicators of the transit period
IV. Conclusion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