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4부 은법제자

『維摩經』의 禪觀 및 수행체계 연구

원문정보

The Practice and Zen of the Vimalakirti Sutra

『유마경』의 선관 및 수행체계 연구

정운(신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Vimalakirti Sutra is a sutra of early Mahayana Buddhism, and it is one of the sutras containing the idea of prajna. This sutra was not authored or preached by the Buddha, but lay Buddhist Vimalakirti formed it. It is based on practicing the idea of Emptiness (sunyata in Sanskrit). The Vimalakirti Sutra, in theory, contains the ideas of primitive Buddhism such as impermanence, no self, no form, the pure-clear heart-mind of self-nature, the thought of enlightenment, and the thought of prajna (profound wisdom), while, in practice, it consists of the way of developing the idea of the Emptiness of Mahayana Buddhism. In other words, the Vimalakirti Sutra combines doctrine and Zen at the same time. The main stream of the sutra is the way of developing the idea of Emptiness, and the developing form is the idea of non-duality. Being based on the idea of non-duality, the mundane and supramundane, truth and skillful means, purity and defilement, form and emptiness,ignorance and enlightenment, and so on, are not two things. That means defilements are another name for enlightenment. After the Vimalakirti Sutra was introduced in China, it came to have a deeper relationship with Zen schools than doctrinal schools, and this sutra became considered a sutra dealing with Zen, and Vimalakirti as a Zen Master. By accepting these ideas positively, Zen schools developed them into daily Zen practicing actions, saying each action is the very action of the Buddha. In other words, daily actions like walking, standing, lying, or sitting down, and talking, being silent, moving, or being calm can be actions practicing Zen, so they did not insist on only sitting meditation.

한국어

『維摩經』은 초기 대승불교 경전으로, 반야부경전류에 속한다. 이 경전은 부처님이 법을 설한 형식이 아니라, 維摩라는 거사가 설정되어 空이라는 실천사상을 바탕에 두고 있다. 『유마경』은 이론적으로는 원시불교의 無常·無我·無相·自性淸淨·菩提心(大悲心)·般若사상을 내포하고 있으며, 실천적으로는 大乘的인 空 사상의 전개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곧 『유마경』은 佛敎學과 禪學을 두루 겸비하고 있으며 經의 큰 물줄기는 空의 실천적 전개방식인데 그 전개구성은 不二사상이다. 이 不二사상에 입각해 결국 世間·出世間, 眞理·方便, 淨·穢, 色·空, 迷·悟 등이 不二이며 煩惱卽菩提로 도출된다. 『유마경』이 중국으로 유입된 이후 敎宗보다 禪宗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유마경』은 禪經으로 유마거사는 禪者로 불리었다. 『유마경』에는 공의 실천적 차원에서 禪思想 및 禪觀이 드러나 있다. 즉 禪宗의 사상이라 할 수 있는 唯心淨土, 煩惱卽 菩提, 莫着言說, 不二思想이다. 이러한 사상들을 禪宗에서 적극 수용하여 일상의 장소에서 일상적인 行 하나하나가 바로 부처의 行이므로, 行住坐臥·語黙動靜하는 일상적인 禪修行이나 좌선만을 고집하지 않는 수행으로 발전되었다.

목차

국문요약문
 I. 들어가는 말
 II.『維摩經』해제
 III.『維摩經』의 禪觀 小考
 IV.『維摩經』의 수행체계
 V.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운(신명희) Shin, Myeong-Hee.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