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부 응용선학

광해군대 문인 사대부의 불교 인식과 승려와의 시적 교유

원문정보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about Buddhism in mid-Chosun

김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opic of this paper is how Korean literary noblemen accept Buddhism in the era of King Seon Jo and Kwang Hae Gun.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change of confucian noblemen’s perspective about Buddhism and Buddhist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research can add new cognition about Korean literature and Buddhism history in the mid-Chosun. Buddhism was what Korean literary noblemen thought as the target of rejection. But this perspective started to be accepted as new cognition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reason that it was accepted is so many Uiseunggun(Buddhists’ army that fights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tried to resist to Japanese army. Uiseunggun that Seosan, Samyung led to war not only won so many battles but also was more active in transporting provisions, constructing fortresses than the royal forces did. After war, they also took an active part in post-war reconstruction work and fixing castles. These their works changed the view of confucian noblemen about Buddhism. Especially, literary noblemen frequent connect to the monk who wrote many poems such as Saseung and Samyung. And they also tried to accept new cognition to them. This paper focused on Yu mongin and Heo Gyun who represent famous literary noblemen that time. Yu mongin never talked about what Buddhist scriptures he had read in detail. But he showed fragmentarily his opinion about Buddhism in his literatures that he had imitated Buddhist scriptures to give monks. He accepted Buddhism as a confucian nobleman in confucian perspective. is the paper handling his opinions in written by him. However, his style of writing helps to know his cognition about Zen Buddhism. Heo Gyun is Buddhist who read thousands of Buddhist scriptures while he is a confucian nobleman. He also interrelated with Zen monks such as Seosan, Samyung and Hae Ann and learned Zen from them. And he controversially talked about his opinion regarding Zen and studying Zen. But his opinion and devotion to Buddhism made him dismissed from his position. In these points, we can know Heo Gyun had more positive tendency than Yu mongin did.

한국어

조선은 新儒學인 性理學으로 입신한 사대부가 중심이 되어 건설한 나라였다. 사대부들은 집권층으로서 유교를 정치의 근본이념으로 삼아 사회 전반에 이 논문은 조선중기 文人士大夫의 불교인식을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이 글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유가사대부들이 불교와 불교인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진행한 것이다. 불교는 조선조의 유가사대부에게는 이단으로 배척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유가사대부들은 불교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기 시작한다. 그것은 전투와 방비 등에서 불교 義僧軍의 활약이 매우 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西山과 四溟 등이 인솔한 의승군은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많은 전과를 올리는 한편, 군량 수송, 산성 축조, 방어진지 구축에서도 관군 이상의 활약을 보였다. 그리고 전 후의 여러 가지 복구사업과 궁궐 수리, 산성의 수축과 방비에서도 크게 활약하였다. 이러한 의승군의 활약상을 보면서 유가사대부 지배층은 불교인과 불교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시선으로 보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유가사대부 가운데 문인사대부들은 서산, 사명 같은 僧將이나 詩僧들과 빈번하게 접촉하고 불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시도하였다. 이 글에서는 당대의 대표적인 문인사대부인 柳夢寅과 許筠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유몽인은 어떤 佛書를 보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불경 문체를 모방해 지은 글과 승려들에게 준 글에서 그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단편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유몽인은 유가사대부로서 유교적 시각으로 불교를 인식하였다. 그의 ‘人間佛論’은 그러한 관점과 견해를 담은 불교적 의론이다. 그러나 그가 지은 寓言에 투영된 自得論과 活語論은 그가 禪佛敎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허균은 유학자이면서도 수천 권의 불서를 읽고 불교를 인식한 불교인이었다. 한편 그는 西山, 四溟, 海眼 등의 선승과 교유하며 그들에게 禪을 배우고, 선과 修禪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쟁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리고 불교를 신앙하다가 관직에서 파면되기도 하였다. 이런 점에서 허균은 유몽인에 비해 불교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에 있어서도 매우 적극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문
 1. 시작하는 말
 2. 임진왜란 시 義增軍의 활약과 사대부의 불교인식의 변화
 3. 유몽인의 人間佛論과 선불교 인식
 4. 허균의 불서 탐독과 불교 인식
 5.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상일 Kim, Sang-II.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