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부 응용선학

『高僧傳』에 나타난 懺悔의 실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Penitence Practice shown in <Gāosēngchuán>

『고승전』에 나타난 참회의 실천 연구

형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āosēngchuán(高僧傳) made by Huijiao(慧皎) is a record of 257 high priests and about 200 related persons from AD 67 (Hòuhàn) to 518 (Liáng). Gāosēngchuán, consisting of 14 volumes, was compiled at Jiāxiángsì temple in Huìqì in 519. It goes without saying that Gāosēngchuán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Buddhist history. In addition, what attracts attention is clarity of data collection and rationality of description process. Therefore, it provides a lot of data for studying the field of Buddhist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cult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preceding studies with respect to multilateral research or in-depth consideration. That's why, this study adopts field of penitence and practice represented in Gāosēngchuán, and then tries to take a view in that regard. Various behavior of Buddhist is all based on internal thought. Penitence and Buddhist behavior accompanied by penitence are sources of religion. Penitence also has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and appears as a form of external ritual. Such an external appearance was introduced during Hòuhàn or the age of Three States when Buddhism was spread. This was because ceremonies related to the religion were also introduced while Buddhist scriptures, Mahayana and Hinayana Sutras, were translated. And, we can see that manners of penitence became settled during Liáng period when Huijiao worked actively. This statement looks into various ways of penitence such as perfumed water bathing, incensing, sutra chanting and Buddhist prayer chanting. Also, it reviews '6 time Buddhist service', which means having Buddhist services 6 times a day by group penitence, as well as uposatha. In addition, it studies Penitence Service held in a fixed period and Galseong (devoted care) Penitence. Besides, diverse methods of penitence are introduced as per field.

한국어

혜교의 <고승전>은 AD 67년(後漢)부터 518년(梁)까지 고승들 257명과 관련 인물 200여 명에 대한 기록이다. <고승전>은 519년 회계(會稽) 가상사(嘉祥寺)에서 편찬하였으며 모두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승전>이 갖는 불교사적 위치가 갖는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 없다. 또한 주목받는 것은 자료 수집의 명확성과 서술 과정의 합리성이다. 그 때문에 불교사 분야에 많은 연구 자료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문화의 입장에서 볼 때 다각적 연구나 심층적 고찰의 선행 연구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한 이유로서 본 연구는 <고승전>에 나타난 참회와 그 행법 분야를 채택하였으며, 고찰을 시도하였다. 불교의 갖가지 행위들은 모두 내적(內的) 사유에 기인한다. 참회 및 참회에 수반되는 불교행위는 신앙심이 근원이다. 참회 역시 내적 반성 구조를 가지며 그것이 외형적 儀式 형태로 나타난다. 그 외형의 모습은 중국에 불교가 전파되던 후한이나 의 삼국시대부터 도입되었다. 이는 대소승 경전이 번역되면서 참회와 관련된 행의들 또한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혜교가 활동하던 양(梁) 시기에는 참회의 행법들이 정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향탕(香湯) 목욕, 향 사루기, 경 일기, 염불 등 다양한 참회법을 알아본다. 그리고 단체 참회인 ‘육시예불’이나 포살(布薩) 등을 고찰며, 기간을 정하여 실시하는 참회 예경, 그리고 갈성(정성)참회를 함께 알아본다.

목차

국문요약문
 I. 머리말
 II. 身儀를 수반하는 참회
 III. 口誦을 수반하는 참회
 IV. 六時 禮懺의정착
 V. 단체 행의로서 齊懺과 布薩
 VI. 息災 및 神異의 기능으로서 懺悔
 VII.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형운 Lee, Sang-Ok.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