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정책 집행과정의 미시적 분석연구: 교장공모제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How policy becomes reality or not: a case study of policy implementation experiences on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이장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inistry of Education decides and declares numerous national educational policy such as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This study examined the open recruitment policy as a case for understanding how an educational policy is being implemented. Focusing 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based on street-level bureaucracy and policy compliance theory,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s. Researcher selected 5 key policy implementation interviewees at provincial educational district and conducted 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between November 2010 and December 2011. The interview note was cross-examined and triangulated by a team of experts and retired principals conforming to case study protocol. The study results show worrisome pictures; first, street-level bureaucrats experience alienation and powerlessness in implementing process; second, they show limited understading and limited belief in open recruitment policy; third, the study showed that the policy compliance pattern is mostly 'token compliance'; fourth, as a street-level bureaucrats, they experience more of restrictions than discretionary activities. This study illustrated the gap between policy decis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and recommended action plans to bridge the gap.

한국어

이 연구는 교육정책을 집행하는 일선관료가 교장공모제 정책집행과 정을 통하여 어 떤 경험을 하였으며 그러한 개별적 경험이 정책의도와 목표의 구현에 있어서 어떠 한 영향을 주었는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교 육정책의 집행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미시적 분석의 이론적 모형으로 는 일선관료제 (street-level bureaucracy)개념과 정책순응개념을 활용하였다. 사례 연구의 절차는 2010년 11월에서 2011년 12월까지 광역교육청에서 교장공모제를 집 행한 일선관료 5 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자료를 관련 전문가와 다 각화 분석 (triangulation)하여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장공모제라는 교 육정책을 집행 하는 일선관료는 정책과정에 대한 소외와 무력감, 정책내용에 대한 제 한적 이해, 정 책내용에 대한 제한적 공감대, 정책집행과정에 대한 형식적 순응, 그 리고 정책집행 에 있어서 재량권보다는 제약성과 같은 일선관료의 반응유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장공모제 사례분석을 통한 교육정책 집행과정의 미시적 연구결과는 향 후 교육개혁 정책의 추진과정에 있어서 일선관료와 정책의 집행과정 이 중요한 연결 고리임을 다시 확인하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육정책집행과정의 개념적 중요성
  2. 정책순응과 일선관료제
  3. 정책집행과정의 관점에서 본 교장공모제
 III. 연구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대상
 IV. 사례분석 결과
  1. 교육정책집행자의 소외와 무력감
  2. 교장공모제에 대한 제한적 공감대와 제한적 이해
  3. 교장공모제에 대한 형식적 순응
  4. 정책집행의 재량권보다는 제약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장익 Lee, Jang-ik. 아주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