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맹자의 종합적 검토(2)

『孟子』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사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Communication Thought in Mengzi(孟子)

『맹자』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사상 연구

이범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communication thought in Mengzi(孟子) in terms of the ideas of man, the ideas of society, the ideas of truth, the ideas of journalism. Based on various research results about Mengzi, this paper explores a frame of communication thought related with philosophy as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and a context of communication, a method of communication. The ideas of man is derived from Mengzi, in which the nature of human beings is ‘good(善)’. in which all beings of the universe a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their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position the nature of human beings in the place of ‘good)’. The ideas of society in Mengzi, which i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fundamental rules of the society, which are ‘justice(義)’ and ‘civility(禮)’. which understands society in the parallel context of the family, nation, and world, The thesis that the feeling of approving and disapproving is essential to man(是非之心) is not only the ideas of 'truth' as contained in Mengzi but a philosophical theory of Knowledge as well. Mengzi considers 'knowing speech(知言)' as the ideas of journalism. The point of 'knowing speech' i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men so that one can better adjust and relate to them.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communication thought in Mengzi could be interpreted as a macroscopic and inclusive system of judgement which is based on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human beings.

한국어

본 연구는,『孟子』에서 인간관⋅사회관⋅진리관⋅언론관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사상의 구성요소들을 고찰한 것이다. 그러한 연구가『孟子』가 담고 있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구조 및 그 본질 파악을 위한 설명력을 높여줄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孟子』의 인간관 관련 요인은 인간의 본성은 선량하다는 성선설에서 주로 찾을 수 있었다. 천명을 본성으로 수용한 성선설이 인간 본질과 인간 창조 관련 설명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孟子』의 사회관은, 모든 덕목의 근간으로서 공정성 및 합법성을 포괄하는 공공성(公共性)의 지탱 원리인 의(義), 이러한 의(義)로써 구체화된 절문(節文)인 예(禮) 등의 언급에 함축되어 있었다. 규범과 윤리를 포함한 질서 및 권위의 본질 등이 민본(民本)사상의 표명인 여민락(與民樂)과 더불어 이들 문장의 의(義) 및 예(禮)에 근거했기 때문이다. 인식론으로서 『孟子』의 진리관은, 천성에 대한 개념, 시비지심(是非之心)론 그리고 양혜왕 상(梁惠王 上)편, 진심 상(盡心 上)편, 이루(離婁 下)편 등에서 보였다. 천성이 곧 천리(天理)이고 시비를 가리는 마음이 지(智)의 싹이라는 점, 이성의 본질인 논리와 진리인 도(道)의 인식 그리고 말의 진리성 등이 상기 내용에 담겨있었기 때문이다. 『孟子』의 언론관은, 지언(知言) 등 말 관련 문장과 그 재해석에서 정리되었다. 진실 표현 및 실천, 말 선택, 선언(善言), 사이비 언어, 의를 좇는 대인의 처신 등에서 현대 언론의 본질과 관련된 의미를 재해석해 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孟子』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사상
  1.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2. 『孟子』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범수 Lee, Bum-Soo. 동아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