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논문

진단용 X-선 촬영시 부가 필터 및 노출의 변화에 따른 피폭선량 및 영상 화질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according to Variable Added Filter and Radiation Exposure in Diagnostic X-Ray Radiography

최남길, 성호진, 전주섭, 김윤현, 성동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know which parameters were acceptable for achieving lowest radiation exposure to the patients and highest image quality at the diagnostic X-ray radiography, we measured the patient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in transmitted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t variable combinations of the added filters. As a result, the Dose Area Product and Entrance Surface Doses was lowest at 1 ㎜Al + 0.2 ㎜Cu and highest at 0 ㎜Al. The histogram of the image quality by transmitted PAC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variable combinations of exposure parameters on the MATLAB.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expecting radiation dose-exposure and control exposure parameters for the diagnostic X-ray radiography.

한국어

본 연구는 진단용 X-선 촬영에서 부가필터 두께에 따라 피폭 선량 및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에 저장된 영상을 비교 평가하여 환자에게 가장 적은 방사선 피폭을 주면서 진단에 적절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촬영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면적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은 1 ㎜Al+0.2 ㎜Cu의 부가필터에서 가장 낮은 피폭 선량 값을, 그리고 0 ㎜Al (No Filter)에서 가장 높은 피폭 선량 값을 보였다. 그러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으로 전송된 영상을 수치 해석 소프트웨어(MATLAB)로 구현한 히스토그램 결과 영상의 질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진단용 X-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영상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폭선량을 경감할 수 있는 최적의 부가필터를 사용함으로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예측하고 검사 조건을 조절하는 데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실험 대상 및 방법
  2.1 인체 모형 및 유리선량계
  2.2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 측정
  2.3 촬영 조건과 피폭선량 측정
  2.4 영상 분석
 3. 결과
  3.1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 재현성 시험
  3.2 부가필터에 따른 면적선량 및 입사표면선량 비교
  3.3 MATLAB을 이용한 영상 분석
 4. 고찰
 감사의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남길 Nam-Gil Choi.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성호진 Ho-Jin Seong. 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전주섭 Joo-Seop Jeon. 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윤현 Youn-Hyun Kim. 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성동욱 Dong-Ook Seong.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